유병언 측근 ‘여성 5인방’ 주목

유병언 측근 ‘여성 5인방’ 주목

입력 2014-04-30 00:00
수정 2014-04-30 14: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혜경·김경숙·김명점·윤두화·이순자세모그룹 주요 계열사 대주주·이사 역할

세월호 선사 청해진해운의 실소유주인 유병언(73) 전 세모그룹 회장 일가의 핵심측근 ‘7인방’에 이어 이번엔 ‘여성 5인방’이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검찰 수사 과정에서 유 전 회장 핵심 계열사의 이사를 맡거나 대주주로 자주 이름을 올리면서 세모그룹의 복잡한 소유구조 속에서 핵심 고리 역할을 하고 있다.

30일 재벌닷컴과 각사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유 전 회장의 핵심 측근 중 가장 눈에 띄는 인물은 김혜경(52) 씨다.

김 씨는 현재 스쿠알렌 등을 만드는 한국제약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그는 유 전 회장 가족이 운영하는 청해진해운의 지주회사 격인 아이원아이홀딩스 등 3개 계열사의 대주주에 올라 있어 핵심 측근으로 꼽힌다.

김 씨는 아이원아이홀딩스의 최대주주인 유대균(19.44%)·유혁기(19.44%)씨 다음으로 많은 지분(6.29%)을 갖고 있다. 유대균(44)·혁기(42) 씨는 유 전 회장의 아들이다.

김 씨는 한국제약(68%)과 방문판매회사인 다판다(24.4%) 등 주요 계열사의 대주주로도 올라 있다.

그는 유 전 회장의 차남 혁기 씨가 대표이사로 있는 문진미디어의 이사(2005년~2010년), 다판다 이사(2003년~2005년), 온바다 이사(1998년~2001년)를 역임하는 등 핵심 역할을 담당했다.

특히 김 씨가 보유한 온바다의 지분 45%이 2002년 유 전 회장의 장남 대균 씨로 고스란히 넘어가 유 전 회장 일가의 핵심 재산관리인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1998년 인천~백령도 간 여객선 운항사업을 위해 설립된 온바다는 2005년 자본잠식에 빠져 출자전환이 이뤄지고 이후 청해진해운에 인수됐다.

김경숙 국제영상 대표이사(72)는 2009년부터 노른자쇼핑의 대표이사도 겸직하고 있다.

국제영상은 지난 1997년 세모가 부도난 이후 유 전 회장이 모든 계열사 주주 명단에서 빠졌는데도 유일하게 2009년까지 28.8%의 지분을 가지고 있던 회사다.

김 대표는 올해 초 아이원아이홀딩스 이사도 맡아 김혜경 한국제약 대표이사와 함께 세모그룹 계열사의 핵심 경영인으로 떠올랐다.

김명점 세모신협 이사장은 2010년 세모신협 감사로 몸담은 이후 2012년에 이사장 자리에 올랐다.

김 이사장은 세모신협과 자금거래가 많은 세모의 사내이사로 올해 선임됐다.

윤두화(60) 아이원아이홀딩스 이사도 아이원아이홀딩스를 비롯해 세모, 국제영상 등 핵심 계열사 여러 곳의 임원을 겸직하고 있다.

윤 이사는 2009년 국제영상 사외이사로 세모그룹 계열사 임원진에 이름을 올린 이후 현재까지 이 회사의 사외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그는 올해 3월 아이원아이홀딩스와 세모의 비상근 이사로 취임하면서 핵심 경영인으로 부상했다.

이순자(71) 전 문진미디어 대표이사는 1993년부터 2003년까지 10년 동안 문진미디어 대표이사로 재직했다. 이 전 대표는 현재 문진미디어의 지분 25%를 가진 최대주주다.

그는 2002년부터 4년간 한국제약의 감사직을 맡기도 했다.

재벌닷컴 측은 “이 씨는 유병언 전 회장의 명의로 되어 있던 서울 서초구 염곡동 소재 주택을 1999년 매입했다가 2002년 유 회장의 장남 대균 씨에게 넘겼다”며 “유 회장 일가족의 부동산 이동과정에 중간다리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큰 인물”이라고 말했다.

이 전 대표는 또 ‘세월호 실소유주 비리’를 수사하는 검찰이 핵심 인물로 꼽는 김필배 전 아이원아이홀딩스 대표이사와 같은 주소지에 거주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