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블로그]이순우 회장, “저축은행사태 잉크도 안말랐다”)

경제블로그]이순우 회장, “저축은행사태 잉크도 안말랐다”)

이유미 기자
입력 2016-06-27 17:35
수정 2016-06-27 17: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순우 저축은행중앙회장이 “저축은행 사태가 아직 잉크도 안 말랐다”고 쓴소리를 했습니다. 저축은행중앙회 임직원 145명을 향해 내뱉은 말입니다. 저축은행 사태는 2011년 삼화저축은행 영업 정지를 시작으로 3년간 30여개 저축은행이 퇴출된 것을 말합니다.

지난 13일 만난 이순우 우리금융 회장은 “우리은행은 팔려가는 게 아니라 새 주인을 찾아가는 것”이라며 매각 대신 민영화라는 표현을 써달라고 부탁했다. 잠이 부족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좀 있으면 24시간 잘 텐데…”라는 답이 돌아왔다. 우리금융 제공
지난 13일 만난 이순우 우리금융 회장은 “우리은행은 팔려가는 게 아니라 새 주인을 찾아가는 것”이라며 매각 대신 민영화라는 표현을 써달라고 부탁했다. 잠이 부족하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좀 있으면 24시간 잘 텐데…”라는 답이 돌아왔다.
우리금융 제공
중앙회는 지난 24일부터 이틀간 인천공항공사 인재개발원에서 워크숍을 진행했습니다. 전 직원이 참여하는 워크숍은 1973년 중앙회 설립 이후 44년 만에 처음 있는 일입니다. 새벽 두 시까지 ‘끝장 토론’이 이어졌다고 합니다. 지난해 12월 중앙회장에 취임한 이 회장이 주도한 자리였죠.

이 회장은 첫 민간 출신 회장이기도 합니다. 2014년 말까지 우리금융지주 회장을 맡았었죠. 이 회장은 매일 숫자와 실적으로 평가받는, 피 말리는 영업 환경에서 잔뼈가 굵은 ‘영업통’입니다. 그는 중앙회 직원들을 향해 “저축은행 업권이 변하지 않으면 이대로 소멸하게 될 것”이라는 말까지 서슴지 않았습니다.

실제 저축은행 업권이 느끼는 위기감은 큽니다. 저축은행 사태 직전(2010년 말) 86조원 규모였던 업계 총자산은 지난해 말 약 44조원으로 반 토막 났습니다.

위기의 직접 원인이 됐던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이 막힌 이후엔 주로 신용대출로 근근이 버텨 왔습니다. 그런데 최근엔 법정 최고금리(34.9→27.9%)가 내려간 데 더해 경쟁자까지 늘었습니다. P2P(개인 대 개인 대출) 전문회사와 올 하반기 출범 예정인 인터넷 전문은행이 중금리 대출로 주로 중저신용자(4~7등급)를 겨냥하고 있어서죠. 다음달부터는 시중은행 9곳에서 정부 보증을 끼고 ‘사잇돌대출’을 출시합니다. 고객을 뺏기지 않기 위해 대형 시중은행과도 경쟁해야 하는 처지죠.

이 회장이 저축은행 업계가 가장 싫어하는 ‘저축은행 사태’를 스스로 입에 올린 것도 이런 팍팍한 여건을 의식해서입니다. 평생 모은 쌈짓돈을 하루아침에 날린 ‘자갈치 아지매’의 눈물과 저축은행 사태의 교훈 역시 업계가 잊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