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美투자 작년 5년 만에 최고… 트럼프 압박 설득카드로 유용

對美투자 작년 5년 만에 최고… 트럼프 압박 설득카드로 유용

김경두 기자
김경두 기자
입력 2017-02-08 23:04
업데이트 2017-02-09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韓, FTA로 美 고용창출 기여”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對)미국 투자가 5년 만에 최대 수준을 기록한 반면 미국의 우리나라 투자는 3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으로 한국과의 무역에서 미국이 손해를 보고 있다”는 트럼프 정부를 설득할 유용한 카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8일 한국무역협회 뉴욕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1∼3분기 우리나라의 대미 투자액은 69억 4000만 달러로, 4분기 투자액을 포함하면 2011년(73억 1000만 달러) 이후 가장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우리나라의 대미 투자는 2014년 55억 9000만 달러, 2015년 56억 6000만 달러, 지난해(1∼3분기) 69억 4000만 달러로 2년 연속 증가했다.

투자 신고 건수도 2013년 1163건에서 2014년 1374건, 2015년 1450건으로 늘었다. 지난해 1∼3분기에는 1169건이 신고됐다. 4분기 신고 건수를 합하면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미국의 대한국 투자는 반대의 흐름이었다. 2015년 54억 8000만 달러에서 지난해 38억 8000만 달러로 30% 가까이 줄었다.

무역협회 관계자는 “만약 트럼프 정부가 한·미 FTA 재협상에 나선다면 우리가 미국에 더 많은 투자를 하고 있으며 고용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통계”라고 말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7-02-09 2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