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올라 못 살겠네’…1월 생산자물가 6년래 최대폭 급등

‘물가 올라 못 살겠네’…1월 생산자물가 6년래 최대폭 급등

입력 2017-02-20 09:09
업데이트 2017-02-20 09: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산자물가지수는 25개월 만에 최고계란 114%·무 89%·경유 59% 올라

국제 유가와 철광석, 유연탄 등 원자재 가격 상승에다 조류인플루엔자(AI)로 인한 계란값 급등 등이 겹치면서 지난달 생산자물가가 6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급등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102.17로 집계돼 한 달 전(100.85)보다 1.3% 상승했다.

이는 2014년 12월(103.11) 이후 25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고 작년 8월부터 6개월 연속으로 오른 것이다.

1월 지수의 전월대비 상승률 1.3%는 2011년(1.5%) 이후 6년 만에 최고다.

1월 지수는 작년 같은 달(98.48)보다 3.7% 올랐는데 이는 2011년 12월(4.3%) 이후 5년 1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생산자물가는 국내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보여주는 통계로, 시차를 두고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경향을 보인다.

1월엔 축산물이 전월보다 6.3% 오르는 등 농림수산품이 4.0% 상승했다.

공산품은 1.9% 올랐는데 이중 석탄 및 석유제품이 8.5%나 올라 상승 폭이 컸다.

서비스는 전월보다 0.3% 올랐고 전력·가스·수도는 보합이었다.

신선식품이 전월보다 5.2% 올라 장바구니 물가 상승을 주도했다.

식료품·에너지 제외물가는 1.1% 올랐다.

주요 품목별로는 AI 파동으로 계란값이 113.5%나 급등했다. 2배를 넘어섰다는 얘기다.

농산물 중에선 무가 88.9%의 상승률을 보였고 배추도 77.6%나 올랐다.

수산물 중에서는 냉동오징어가 66.0%, 물오징어는 58.2% 올랐다.

국제 유가 상승의 영향으로 경유는 59.0% 상승했고 나프타는 46.5%, 벙커C유는 35.2% 뛰었다.

1차 금속에서 열연강판이 45.8%, 선철은 25.1% 상승했고 전기 및 전자기기 중에선 TV용 LCD가 31.4% 올랐다.

상품과 서비스 가격변동을 가공단계별로 구분해 측정한 국내공급물가지수는 1월 98.09로 전월보다 1.8% 상승했다.

수출품까지 포함한 총산출물가지수는 98.87로 1.1% 올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