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목할 만한 G2 ‘유니콘 로봇기업’

주목할 만한 G2 ‘유니콘 로봇기업’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07-20 17:24
업데이트 2020-07-21 03: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보스턴 다이내믹스
4족보행 강아지… 넘어져도 오뚝이처럼 벌떡

中 유비테크
의료로봇 3종, 체온 자동측정·방역 작업 척척

이미지 확대
보스턴 다이나믹스 ‘스팟’
보스턴 다이나믹스 ‘스팟’
세계는 우리를 기다리지 않는다. 우리가 규제의 늪에서 허덕이는 사이 세계 곳곳의 경쟁자들은 이미 ‘유니콘’이 돼 저만치 앞질러 간다. 미국과 중국의 주목할 만한 기업 2곳을 소개한다.

●강아지야 로봇이야?

구독자 1680만명을 보유한 유튜브 채널 ‘언박스 테라피’에는 지난달 흥미로운 영상이 올라왔다. 다리가 넷 달린 정체불명의 노란색 기계. 리모컨을 작동시키자 불이 번쩍 들어오더니 기계는 스스로 몸을 뒤집고 벌떡 일어선다. 이내 강아지처럼 작업실을 총총 걸어다니는 모습에 놀란 진짜 강아지들은 기계를 향해 매섭게 짖는다. 미국의 로봇기업 ‘보스턴 다이내믹스’가 개발한 로봇강아지 ‘스폿’(Spot)이 영상의 주인공. 리모컨에서 보행모드를 ‘계단모드’(Stair)로 바꾸면 계단 위도 질주한다. 야외에서도 거뜬하다. 다소 높은 턱도 안정적으로 넘으며 넘어져도 오뚝이처럼 일어난다. 앞에 달린 카메라가 촬영하는 영상은 리모컨으로 실시간 전송된다.

4족보행 로봇은 활용도가 높다. 바퀴로 이동하는 로봇과 달리 장애물에 구애받지 않아서다. 사람의 손이 닿지 않는 곳까지 점검하는 데 쓰인다. 스폿은 최근 노르웨이 석유·가스 탐사업체인 ‘아커BP’에 고용됐다. 시설 점검은 물론 가스 유출 확인과 데이터 수집, 보고서 작성까지 할 줄 아는 똑똑한 직원이다. 지난 5월에는 뉴질랜드 목장에서 양떼를 감시하는 임무를 받기도 했다. 최근 시중에 판매되기 시작했다. 가격은 7만 4500달러(약 9000만원)다.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교수를 지낸 마크 레이버트가 1992년 설립한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인간, 개, 고양이 등 생명체의 행동패턴을 분석해 로봇으로 완벽하게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 2013년 구글에 인수됐다가 2017년 소프트뱅크에 매각된 뒤 현재에 이른다.
이미지 확대
유비테크 ‘에임봇’
유비테크 ‘에임봇’
●마스크 착용 여부도 꼼꼼하게 감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은 누군가에겐 기회가 됐다. 감염 위험으로 ‘언택트’(비대면)가 확산하면서 의료와 방역 일선에서 활약할 수 있는 로봇이 주목을 받은 것. ‘중국의 실리콘밸리’라고 불리는 선전(深)의 병원에서 자사의 인공지능(AI) 로봇을 활약시킨 중국의 기업 ‘유비테크’ 이야기다. 코로나19 확산 국면에서 유비테크의 로봇은 의료기관에 물자를 전달하거나 호텔에 격리된 손님에게는 음식을 배달하는 일을 도맡았다. 로봇들은 공공장소에선 체온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소독 작업도 알아서 할 수 있을 정도로 다재다능하다.

실제 활약한 로봇은 세 가지로 각기 다른 임무가 부여됐다. ‘에임봇’은 실내 방역, ‘아트리스’는 실외 방역, ‘크루저’는 의료 상담이다. 에임봇은 실내와 발열 진료소를 돌아다녔다. 적외선, 가시광선 듀얼카메라로 수집한 정보를 AI로 분석해 마스크를 착용했는지, 체온이 이상하진 않은지 인식했다. 사람들이 밀집한 지역을 모니터링하고 방역 관련 소식도 빠르게 전파했다. 아트리스는 실외에서 에임봇과 비슷한 임무를 수행하면서 오염된 지역을 소독하는 임무도 맡았다. 코로나가 발생하기도 전부터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세를 탔던 크루저는 총 26가지 언어로 환자에게 상담 서비스를 제공했다.

2012년 설립된 유비테크는 AI와 휴머노이드 로봇 연구개발 등을 수행하고 있는 중국의 대표적인 유니콘 기업이다. 특히 가정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을 주로 개발,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 대략 60억~80억 위안 수준의 매출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07-21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