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집값 시총 5000조 돌파…1995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

지난해 집값 시총 5000조 돌파…1995년 통계 작성 이래 처음

김승훈 기자
입력 2020-07-26 18:15
업데이트 2020-07-26 18: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우리나라 집값 시가총액이 5000조원을 돌파했다. 1995년 통계 집계 이래 처음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집값 시가총액 배율도 2.64배로 가장 높은 수준이다.

2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국내 주택 시세의 합인 주택 시가총액은 5056조 7924억원으로, 1년 전 4709조 6118억원보다 7.4%(347조 1806억원) 증가했다.

집값 시가총액은 2000년 1000조원, 2006년 2000조원, 2010년 3000조원, 2016년 4000조원을 넘은 데 이어 지난해 사상 처음 5000조원대를 기록했다. 박근혜 정부 때인 2016년 말과 비교하면 26.2% 올랐다. 통계 집계 이래 집값 시가총액이 전년 대비 줄어든 건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단 한 차례밖에 없었다.

김대중 정부 말기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2~2007년엔 해마다 10% 이상 시가총액이 늘었다. 2002년(1321조 4267억원)엔 한 해 전보다 무려 16.8%나 늘어 역대 최고 증가율을 기록했다.

집값 오름세는 올해도 지속되고 있다. 기준금리가 사상 최저인 연 0.5%로 내려가면서 풍부해진 시중 유동성이 부동산으로 몰리고 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주택 평균 매매가격은 3억 7038만원으로 지난해 말(3억 5028만원)에 비해 5.7% 뛰었다.

경제 성장세와 비교해 주택 시장이 얼마나 활성화됐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인 명목 GDP 대비 시가총액 배율은 지난해 2.64배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2005년 처음 2배를 넘은 뒤 4차례를 제외하곤 해마다 상승했다. 이 배율이 올랐다는 건 경기보다 주택 시장이 더 호조를 보였다는 걸 말한다.

우리나라의 명목 GDP 성장률은 지난해 1.1%로 전년(3.4%)보다 크게 낮아졌다. 이 기간 집값 시가총액은 크게 증가한 반면 명목 GDP 성장률은 둔화되면서 배율이 높아졌다. 2017년 2.35배에서 2018년 2.48배로 올랐고, 지난해엔 2.64배까지 상승했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