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 직장서 15년 2개월… 퇴직은 49.3세, 고령층 68.1% “73세까지 일하고 싶다”

한 직장서 15년 2개월… 퇴직은 49.3세, 고령층 68.1% “73세까지 일하고 싶다”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1-07-27 21:02
업데이트 2021-07-28 01: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령층 평균 근속기간 4.9개월 감소

폐업·명퇴 등 45.2% ‘비자발적 퇴직’
연금수령자 48%… 월평균 64만원뿐

생애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평균 근속한 기간이 6년 만에 감소했다. 코로나19 여파로 직장에서 내몰린 시기가 빨리 온 영향으로 풀이된다.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5월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취업 경험이 있는 55~64세(기초노령연금 수령 전) 고령층 인구가 생애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로 집계됐다. 지난해(15년 7개월)보다 4.9개월 감소했다. 평균 근속기간이 감소한 건 2015년 이래 6년 만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직장(개인사업장 포함)을 그만두거나 옮긴 사람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며 “도소매·숙박음식업과 농림어업 등에서 근속기간 감소폭이 컸다”고 설명했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49.3세로 1년 전보다 0.1세 낮아졌다. 직장을 그만둔 사유로는 사업부진·조업중단·휴폐업(33.0%)이 가장 많았다. 권고사직·명예퇴직·정리해고(12.2%)를 포함하면 절반 가까이(45.2%)가 본인 의사와 상관없이 일자리를 잃은 셈이다. 건강이 좋지 않아서(18.8%)와 가족을 돌보기 위해서(14.1%) 등의 이유도 있었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고령층 가운데 현재 취업 중인 사람은 52%에 불과했다. 나머지 절반가량은 퇴직 후 일자리를 구하지 않거나 구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전체 고령층(55~79세) 중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사람의 비율은 68.1%로 1년 전보다 0.7% 포인트 상승했다. 이들이 계속 근로를 희망하는 연령은 평균 73세까지로 집계됐다.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활비에 보탬(58.7%)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전체 고령층 가운데 48.4%는 연금을 수령하고 있고, 월평균 64만원으로 나타났다. 연금만으로는 생활이 어려워 추가로 일을 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고령층 인구는 1476만 6000명으로 전체 인구의 32.8%를 차지했다. 1년 전보다 3.5% 증가했다. 고령층 인구 비중은 2018년 처음으로 30%를 넘어선 데 이어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21-07-28 12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