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는 치솟는데 성장은 갉아먹어… 50년 만에 엄습하는 ‘S’ 공포

물가는 치솟는데 성장은 갉아먹어… 50년 만에 엄습하는 ‘S’ 공포

임주형 기자
임주형, 명희진 기자
입력 2022-03-06 20:44
업데이트 2022-03-07 0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크라發 ‘경제 침공’ 경고등

4%대 물가·유가 120달러 육박
“브렌트유 185달러까지” 전망도
인플레 압박 속 곡물값도 인상
韓 올 성장률 2%대 하향 관측
“인플레 해소·회복 중 선택해야”

이미지 확대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지금 우리에게는 최악의 두 단어가 있다. 하나는 인플레이션(inflation·물가 상승), 다른 하나는 스태그네이션(stagnation·침체)이다. 문제는 둘이 함께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일종의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스태그네이션+인플레이션) 상황에 놓여 있다.”

고성장 저물가의 ‘골디락스’(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경제 상황)가 이상적이라면 대척점에는 스태그플레이션이 있다. 경기가 침체인데 물가는 오르는 스태그플레이션은 영국 보수당 의원이자 훗날 재무장관이 된 이언 매클라우드가 1965년 처음 언급했다. ‘S 공포’로 불리며 가장 피하고 싶은 현상이다. 1970년대 석유파동(오일쇼크)이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얼룩졌는데, 50년 만인 올해 다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유동성을 늘리는 상황에서 우크라이나 사태가 터졌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6일 경제계와 시장 등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대를 기록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우크라이나 사태 고조로 국제유가가 배럴당 120달러(약 14만 6000원)에 육박하는 등 인플레이션 압력이 거세기 때문이다. 연초 배럴당 76.99달러였던 서부텍사스유(WTI)는 지난 4일 115.68달러까지 상승했다. 브렌트유(118.11달러)와 두바이유(114.95달러)도 120달러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은 러시아 원유 공급이 끊어질 경우 브렌트유가 185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고유가는 그러지 않아도 들썩이는 물가를 한층 부추길 것으로 우려된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은 국제유가가 10% 오르면 국내 소비자물가는 0.1% 포인트 상승한다고 분석했다. 여기에 곡물가격 인상까지 겹치면서 장바구니 물가를 밀어올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이 전 세계 밀 수출량의 29%를 차지하는 대표 수출국인 만큼 국제 밀 가격 상승에 따른 인상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다. 밀가루 가격 인상은 서민들이 주로 찾는 라면, 과자, 빵, 피자, 햄버거 등 다른 제품군 인상을 부추길 수 있다.

우크라이나 사태는 물가 상승을 부추기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 경제성장률도 갉아먹을 가능성이 있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각각 3.1%와 3.0%를 내걸었지만 2%대로 하향 조정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더라도 오일쇼크 때처럼 심각한 수준은 아니겠지만 문제는 이를 해결하는 방법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라며 “인플레이션 해소에 우위를 둘지, 경제회복에 무게를 둘지 선택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우려되는 상황에서는 한은이 금리 인상에 신중할 수밖에 없는데 정부가 쓸 수 있는 카드도 많지 않다. 지난해 11월부터 시행 중인 유류세 인하 폭(20%)을 확대하는 방안 정도가 거론된다. 인하 폭을 법정 한도인 30%로 확대할 경우 휘발유 세금은 인하 전보다 ℓ당 305원, 현재 감면과 비교해 141원 더 낮아진다. 한편 정부는 이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원한 벨라루스에 대해 러시아와 유사한 방식의 수출 통제 조치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세종 임주형 기자
서울 명희진 기자
2022-03-07 10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