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급망 안정화 기금 운용 방안 발표
‘전기차 캐즘’ 이차전지 기업에 자금 지원
구매·운영 자금 조달 원가 수준 혜택 제공


이차전지 공장 이미지 <자료: 챗GPT>
올해 전기차 배터리를 생산하는 이차전지 기업이 핵심 소재·원료인 분리막과 전해액 등을 국내에서 사면 최대 1조원의 금융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과 중국산 저가 제품 공세로 가격 경쟁에서 고전하는 이차전지 기업의 국내 생산과 구매를 지원해 추락한 실적을 만회하도록 돕겠다는 취지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4차 공급망안정화위원회를 열고 이런 내용의 ‘공급망 안정화 기금 운용 및 제도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전기차·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필수 원료 공급망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지원하기 위한 용도로 조성된 기금이다. 정부는 지난해 하반기 5조원 규모의 재원을 마련했고, 올해 연 10조원으로 규모를 확대한다. 특히 올해는 기금 지원 대상과 지원 수단을 다각화해 공급망 안정화 기업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정부는 경제 안보 측면에서 중요도가 높은 핵심 소재·부품을 국내에서 조달하는 국내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1조원 규모의 금융 지원에 나선다. 구체적으로 ▲이차전지 소재인 분리막과 원료인 전해액을 사는 이차전지 기업 ▲반도체 원료인 반도체 특수가스를 사는 반도체 기업 ▲니켈·코발트·망간(NCM) 전구체 등 중간재를 사는 양극재 기업이 지원 대상이다. 해당 기업은 국산 제품의 구매 자금과 운영 자금을 조달 원가 수준으로 지원받을 수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