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상호관세 발표… 韓 주요 타깃
상호관세 부과 범위 ‘더티 15’ 유력韓, 美무역적자국 8위… 우려 커져
나스닥지수 올 들어 10% 내리막
홍콩 항셍 17%·獨 DAX 13% 상승
“불확실성 장기화, 증시에 부정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모든 국가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한 4월 2일이 다가오면서 미국의 무역 적자국 10위권 안에 드는 한국도 주요 타깃이 될 것이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발표를 앞두고 고위 참모들에게 더 공세적인 관세정책 입안을 주문하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상호관세 부과 범위와 관련해 가장 유력한 옵션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언급했던 ‘더티 15’(Dirty 15)다. 더티15란 미국을 상대로 무역 흑자를 보는 상위 15%의 무역 파트너국을 가리키는 말인데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 체결로 실질 관세가 거의 없는 한국은 지난해 기준 미국의 무역 적자국 8위에 이름이 올라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NBC 인터뷰에서 자동차 25% 관세 부과 발표로 인한 가격 상승 우려에 대해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 외국산 자동차 가격이 올라가면 사람들이 미국산 자동차를 살 것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는 2일 상호관세 부과 발표 역시 “연기할 계획이 없다”고 못박았다.
다만 지난해까지 수년간 글로벌 투자금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이며 ‘미국 예외주의’를 이끌던 뉴욕 증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구체화될수록 힘을 잃어 가는 모습이다. 대형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28일까지 지난해 종가 대비 10.29% 하락했고 다우지수와 S&P500지수도 각각 2.26%와 5.11% 떨어졌다.
트럼프 행정부 출범과 함께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던 중국과 유럽 증시는 올 들어 상승세다. 중국 본토 주요 기술기업이 상장한 홍콩 항셍지수는 올 들어 지난 28일까지 16.78% 급등했다. 중국 지도부의 경기 부양 노력과 함께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중국 이외의 다른 주요 국가들까지 겨냥하면서 중국에 집중됐던 미국의 압박이 분산될 것이란 기대가 힘을 보탰다.
독일 DAX지수와 유로스톡스50은 같은 기간 12.82%와 8.89% 상승했다. 미국을 빠져나간 자금이 유입됐고 독일 정치권이 천문학적 규모의 인프라·국방비 투자 계획을 밝힌 것이 상승세로 이어졌다. 트럼프 행정부가 유럽의 국방비 증액을 요구한 것이 증시에는 오히려 약이 된 셈이다.김승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마가’(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를 내걸고 ‘미국 예외주의’ 시대를 열겠다고 했지만 자본은 오히려 저평가돼 있던 유럽과 중국 증시로 이동했다“면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장기화할 경우 미국은 물론 유럽, 중국 증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2025-03-31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