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전화 결제피해 75%는 모르는 새 당해”

“휴대전화 결제피해 75%는 모르는 새 당해”

입력 2010-05-05 00:00
업데이트 2010-05-05 14: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휴대전화 소액결제 소비자 피해 중 75%가량은 자신도 모르는 새 무료 이벤트나 광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주부클럽연합회는 지난해 접수된 유.무선 자동결제와 관련한 소비자 피해 상담 2천388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이 중 회원 가입이나 본인 인증 절차만 밟았는데 이것이 결제 동의로 간주돼 자동결제된 경우가 954건으로 39.9%에 달했다.

 또 서비스가 무료라고 해 이용했는데 자동결제된 경우가 445건(18.6%),일정 기간만 유료로 사용했는데 그 기간이 끝나고서도 결제된 경우가 250건(10.5%),무료 체험 이벤트를 이용하고 있었는데 그 기간이 끝나기도 전에 자동결제된 경우가 21건(0.9%)이었다.

 가입한 적이 없는데 결제가 돼 이유를 알지 못하는 경우도 111건(4.6%)이나 됐다.

 결국,이들 유형을 모두 합치면 본인도 모르는 새 결제된 경우가 74.5%에 달했던 셈이다.

 이 밖에 무료사용 기간이었는데 해지를 하려 하자 전화 연결이 되지 않거나 탈퇴할 방법을 찾지 못해 해지하지 못한 경우도 508건(21.3%)이었다.

 피해 서비스 유형은 음악이 1천550건(64.9%)으로 가장 많았고,컴퓨터 바이러스 치료(220건,9.2%),파일 다운로드(202건,8.5%)가 뒤를 이었다.

 피해 금액별로는 1만원 미만이 56.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만원 이상∼3만원 미만 31.1%,3만원 이상∼6만원 미만 5.9%,6만원 이상∼9만원 미만 2.7% 순이었다.

 피해자들 연령은 20대(40.9%),30대(33.3%),40대(18.8%),50대(4.2%),10대(1.4%) 순이었다.

 연합회 관계자는 “결제된 금액은 5천500원에서 1만1천원으로 소액이지만 이를 전부 합치면 5천만원이 넘는다”며 “다른 관련 기관에 접수된 피해까지 합하면 그 규모는 수천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회는 소비자들에게 관련 사이트 가입 전에 약관 내용을 꼼꼼히 확인하라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