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디지털 영상콘텐츠 亞허브 추진

SKT, 디지털 영상콘텐츠 亞허브 추진

입력 2010-10-06 00:00
업데이트 2010-10-06 00: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獨미디어피어스와 합작회사 새달 B2B 온라인마켓 개설

SK텔레콤이 아시아 디지털 영상콘텐츠의 허브 구축에 나선다.

SK텔레콤은 기업 간에 국내외 영상콘텐츠를 거래할 수 있는 온라인 디지털 콘텐츠 마켓인 ‘트레이드 올 콘텐트’를 독일 미디어피어스와 제휴해 다음달에 개설한다고 5일 밝혔다.

트레이드 올 콘텐트는 방송프로그램, 영화 등 각종 영상콘텐츠를 판권 보유자인 제작사, 배급사, 방송사 등이 마켓에 등록하면 방송사, 다채널 프로그램 공급자, 뉴미디어 관련 사업자 등이 콘텐츠를 직접 확인한 뒤 구매할 수 있는 B2B(기업 간 거래) 온라인 오픈마켓이다.

SK텔레콤과 미디어피어스는 마켓 개설에 앞서 협력 관계를 구축했다. 미디어피어스는 700여개사의 약 5만 4000개 영상콘텐츠가 거래되는 세계 최대 B2B 온라인 오픈마켓인 ‘MPX’를 운영하고 있는 도이치텔레콤의 투자회사.

미디어피어스는 트레이드 올 콘텐트를 SK텔레콤과 공동 운영하고, MPX에 있는 모든 콘텐츠를 트레이드 올 콘텐트에 동일하게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SK텔레콤은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주요 9개국을 중심으로 트레이드 올 콘텐트를 디지털 콘텐츠 허브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한국 영상콘텐츠의 해외 진출도 수월해져 한류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했다.

현재 영상 콘텐츠는 대부분 거래 당사자가 직접 만나 견본을 확인하고 계약하는 형태다. SK텔레콤 측은 트레이드 올 콘텐트를 통해 거래 과정에서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정품 콘텐츠 판매 및 대금의 적시 지급을 보장해 거래 안전성을 확보한다고 설명했다.

또 판매자는 마케팅 비용을 줄이면서 해외시장에서 새로운 판로를 확보하고, 구매자는 세부 검색을 통해 필요한 콘텐츠를 편리하게 찾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통망 확보에 어려움을 겪던 소규모 영상 사업자들의 기회도 확대되고 장기적으로 영상콘텐츠 제작도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회사 측은 예상하고 있다.

서성원 SK텔레콤 PM 사업단장은 “앞으로 영상콘텐츠뿐만 아니라 음악 등 콘텐츠 종류를 다양하게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10-06 1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