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LG 이번엔 OLED 승부수

삼성-LG 이번엔 OLED 승부수

입력 2011-03-23 00:00
업데이트 2011-03-23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과 LG가 ‘꿈의 디스플레이’로 불리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에 경쟁적으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현재 세계 디스플레이의 주류로 자리 잡은 액정표시장치(LCD)를 대체할 차세대 제품일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2013년쯤으로 예상되는 OLED TV 시장에서 확실한 주도권을 쥐겠다는 포석이다.

이미지 확대
2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계열사인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SMD)가 추진하는 유상증자(3조 4000억원 규모)에 참여, 1조 7000억원을 투자해 최대 주주로 올라섰다.

SMD는 삼성이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이하 아몰레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삼성전자와 삼성SDI가 50대50으로 지분을 투자해 설립했다. 삼성전자는 이번 투자로 SMD의 주식 64.4%(4365만주)를 확보해 SMD의 이사 선임권 등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삼성SDI는 이번 유상증자에 3000억원만 투자해 지분율이 35.6%(2417만주)로 낮아져 2대 주주로 떨어졌다.

SMD는 이번 증자 금액과 내부 유보금(2조원가량) 등을 합쳐 올해 아몰레드 생산 설비 증설에 5조 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현금 동원능력을 갖춘 삼성SDI가 삼성전자와 같은 금액을 투자하지 않고 최대 주주에서 물러난 데 대해 업계에서는 삼성전자를 통해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의도로 보고 있다.

아몰레드 시장은 삼성이 사실상 없던 시장을 만들어 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때문에 OLED 사업에 대한 삼성의 의지는 남다를 수밖에 없다. SMD는 올해 하반기부터 5.5세대 라인을 본격적으로 가동해 지난해보다 3배 가까이 늘어난 1억 2000만대 이상을 출하할 예정이어서 어느 때보다 강한 추진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여기에 최근 타이완 업체들도 생산라인을 갖추고 본격적인 도전에 나서고 있어 삼성전자라는 든든한 버팀목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LG도 이에 뒤질세라 OLED 사업에 승부수를 던졌다. LG디스플레이는 최근 주주총회를 통해 2013년부터 OLED TV용 패널을 본격적으로 양산하겠다고 밝혔다. 내년까지 TV용 패널 양산 체계를 갖춘 뒤 시장 상황을 봐 가며 OLED TV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의지다. 본격적인 OLED 라인 투자는 올해부터 시작될 계획이다. 이를 위해 LG화학이 소재 개발 및 연구를 맡고 LG전자가 세트제품 개발에 참여하는 등 계열사 간 협업 체제를 확고히 구축해 세계 최고 수준의 OLED 공급망을 갖추겠다고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는 OLED 투자 확대를 위해 주식연계채권 발행 한도도 기존 2조원에서 2조 5000억원으로 늘렸다. 아몰레드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갤럭시S’가 큰 성공을 거두면서 소형 OLED 패널에서는 삼성에 크게 뒤지고 있지만, 향후 진검승부라 할 수 있는 TV 시장에서는 삼성을 반드시 이기겠다는 게 LG의 생각이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용어 클릭]

●OLED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유기물질’을 뜻한다. 일반 LCD와 달리 옆에서 봐도 화질이 변하지 않고 잔상이 남지 않아 차세대 디스플레이로 주목받고 있다.
2011-03-23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