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소비, ‘스마트 미디어’로 급속 재편

뉴스 소비, ‘스마트 미디어’로 급속 재편

입력 2011-12-16 00:00
업데이트 2011-12-16 13: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마트미디어 환경과 뉴스 콘텐츠’ 보고서 발간

2천만대를 훌쩍 넘어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디지털 미디어 환경은 PC와 웹의 시대에서 이른바 ‘스마트미디어’로 급속도로 재편되고 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이성준)이 최근 발간한 ‘스마트 미디어 환경과 뉴스 콘텐츠’ 보고서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과 모바일 인터넷이 가능한 스마트폰의 1주일간 뉴스 이용 비율은 67.2%, 태블릿PC는 72.90%였다. 1일 평균 이용시간은 스마트폰이 39.4분, 태블릿PC가 53.2분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신문과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시간 보다 많은 것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미디어 플랫폼으로 뉴스 소비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주 1회 이상 스마트폰 이용자 1,068명과 태블릿PC 이용자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결과다.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은 63.0분, 태블릿PC 이용자의 어플리케이션 이용시간은 69.0분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또 스마트폰 이용자들은 주로 카카오톡 같은 커뮤니케이션 기능(82.9%)을 가장 많이 사용(82.9%)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게임(65.5%), 생활정보(65.4%) 순이었다.

 

태블릿PC의 경우 게임 어플리케이션(67.1%)로 가장 이용비율이 높았고, 뉴스 어플리케이션은 65.0%의 이용비율을 보였다.

 

하지만 뉴스 콘텐츠 유료 구매비율은 스마트폰의 경우 1.4%, 태블릿PC의 경우 2.9%로, 여전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향후 뉴스 유료구매 의향의 경우도 평균값 보다는 낮지만 태블릿PC 영역에서는 40~50대를 중심으로 어느 정도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의 경우 주로 이용하는 뉴스 유형은 헤드라인 뉴스, 속보기사, 사회뉴스, 연예뉴스로 나타났다. 태블릿PC의 경우도 비슷한 유형을 보이고 있었다.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서 주로 뉴스를 이용하는 채널은 포털의 서비스가 우세하였지만, 인터넷 공간에서처럼 큰 격차를 보이지는 않고 있었다.

 

이번 보고서 발간을 주관한 언론진흥재단 최민재 연구팀장은 “스마트 미디어 플랫폼에 대한 기존 미디어들의 대응은 단순히 새롭게 등장한 모바일 플랫폼에 대한 대응이 아니라, 향후 스마트 미디어를 기반으로 한 N스크린 환경에 대한 대응전략 수립이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말했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