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통신비 月 1만1100원 줄었다? 소비자는 체감 안 되는 통계의 착시

가계통신비 月 1만1100원 줄었다? 소비자는 체감 안 되는 통계의 착시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5-10 18:02
업데이트 2020-05-11 08: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요금·단말기 구입비 등 8.3% 감소

약정할인율 25%·기초수급자 감면 효과
혜택없는 소비자 “5G요금 여전히 비싸”
통계 조사방식 달라져 “비교 연속성↓”
한 달에 내는 휴대전화 사용료 등이 1만 1100원이나 줄었다는데 왜 여전히 비싸게 느껴질까.

지난해 가계통신비가 전년도에 비해 월 1만 1100원이 감소했다는 통계청 발표가 나오자 ‘통계의 착시’가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다. 10일 통계청과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에 따르면 통신서비스 비용과 단말기 구입 비용을 합친 2019년 가구당 통신비는 월 12만 3000원으로 전년(13만 4100원)보다 1만 1100원(8.3%)이 줄었다. 가계 전체 소비지출에서 통신비의 비중도 5%로 전년 대비 0.3% 포인트가 낮아졌다. 5세대(5G) 이동통신의 요금제가 최대 월 13만원대까지 올랐고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가격도 100만원 중반을 훌쩍 넘겼는데도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이다.

통신 업계에서는 곧바로 우려의 목소리가 쏟아졌다. 1인당 무선데이터 이용량은 2019년이 전년도에 비해 약 38% 급증했는데도 이동통신 3사가 과도하게 보조금 지원 경쟁을 벌여 오히려 수익성이 나빠졌다는 것이다. 기존에 20%였던 선택약정할인율을 2017년부터 25%로 올린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났고 기초연금수급자 통신요금 감면 액수가 증가한 것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하지만 이런 결과에도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통신료가 비싸다는 불만이 여전하다. 기존 통신료가 워낙 비쌌기 때문에 ‘찔끔’ 내렸다고 해도 절대치가 높다는 주장이다. 기초연금수급자 통신요금 감면액이 약 8000억원에 달하는데 혜택을 못 받는 일반 소비자들은 당연히 체감하기 어렵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게임, 영화, 음악 관련 콘텐츠 결제는 통신비로 집계되지 않는데 이것이 함께 고지서에 찍히면서 요금이 비싸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통계청의 ‘연간 지출 가계동향조사 결과’는 2017~18년에 매달 1000가구씩 새로 추출했지만 지난해에는 이를 바꿔 7200가구를 대상으로 하는 등 조사 방식이 완전히 달라졌기 때문에 통계의 연속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왔다. 통계청 관계자도 “추출이나 조사 방식이 달라져 2018년도와 단순 비교하면 안 된다”고 설명했다.

문은옥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간사는 “올해 5G 신규 가입자가 계속 추가될 것이기 때문에 요금제 전체 통신비 지출이 앞으로 더욱 증가할 여지가 크다”면서 “이동통신사들이 5G에서도 중저가 요금제를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20-05-11 1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