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이번에는 모바일 광고 시장서 맞대결

네이버-카카오, 이번에는 모바일 광고 시장서 맞대결

한재희 기자
입력 2020-05-11 19:28
업데이트 2020-05-11 19: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네이버 카카오
네이버 카카오
18일 ‘스마트채널’ 선보이는 네이버

네이버와 카카오가 이번에는 모바일 광고 시장에서 맞대결을 펼친다. 카카오가 메신저 채팅 목록 상단에 ‘톡 비즈보드’(톡보드)를 만들어 짭짤한 수익을 내자 네이버는 뉴스 목록 상단에 광고란을 신설해 대응에 나선 것이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오는 18일 애플리케이션(앱) 신규 광고 상품인 ‘스마트채널’ 서비스를 개시한다. 스마트채널은 네이버 앱의 뉴스·연예·스포츠 판의 최상단에 노출되는 배너형 광고다. 이전에도 앱 중간에 ‘디스플레이 광고’라 불리는 배너 광고가 있었지만 이번에는 위치를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쓰는 서비스에 전진 배치했다는 차이가 있다. 스마트채널은 사용자들의 이용 패턴에 따른 ‘맞춤 광고’도 제공한다. 광고를 통한 유입량에 비례해 광고주들이 돈을 지불하는 ‘성과형’과 계약된 분량만큼 광고가 노출되는 ‘보장형’ 중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단 점도 차별화된다.
이미지 확대
네이버의 ‘스마트 채널’. 뉴스, 연예, 스포츠 판 상단에 배너 광고가 생겼다. 네이버 제공
네이버의 ‘스마트 채널’. 뉴스, 연예, 스포츠 판 상단에 배너 광고가 생겼다.
네이버 제공
네이버의 스마트채널은 지난해 5월 카카오톡이 도입한 톡보드와 비슷한 면이 많다. 위치가 뉴스 쪽이냐 메신저 쪽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 고객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서비스 상단에 광고를 심은 것은 똑같다. 톡보드에도 ‘맞춤광고’, ‘성과형 과금’ 등이 적용됐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5월 출시된 카카오의 ‘톡보드’. 카카오톡의 채팅창 최상단에 배너 광고가 있다. 카카오 제공
지난해 5월 출시된 카카오의 ‘톡보드’. 카카오톡의 채팅창 최상단에 배너 광고가 있다.
카카오 제공
톡보드는 처음 도입될 때만 해도 소비자 불편이 클 것이란 우려가 많았지만 금세 카카오의 ‘효자 상품’으로 자리매김했다. 최대한 이용자 시선에 거슬리지 않는 형태로 배치됐고, 광고 내용도 맞춤형이다 보니 이것을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라 여기는 이들도 나왔다. 서비스가 자리를 잡자 지난해 8월에 2억~3억원이었던 톡보드 일평균 매출이 같은해 12월에는 5억원으로 늘었다. 톡보드 덕분에 카카오는 지난해 연간 6500억원이었던 카카오톡 관련 사업 매출의 목표치를 올해는 1조원으로 잡았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불황’으로 업계 광고 수익이 줄었음에도 카카오는 톡보드가 버텨 준 덕에 올해 1분기 역대 최고 실적을 냈다”면서 “전체적으론 좋은 실적이었지만 1분기 포털 광고 부문에서는 아쉬웠던 네이버도 스마트채널로 수익성 강화를 노릴 것”이라고 말했다.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