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월세 차이는

전세·월세 차이는

입력 2011-09-24 00:00
업데이트 2011-09-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동산업계에서는 반전세(보증부 월세)나 월세의 증가 배경에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맞물려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금융권의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베이비부머 가운데 다주택자들이 안정적인 노후 생활 자금 마련을 위해 부동산 시장으로 눈을 돌렸다는 설명이다.

●전세금 비쌀수록 더 낮은 월세 전환율 적용

23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세입자들은 최근 급변한 시장 상황 속에서 전세나 월세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높은 월세 전환율(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사용하는 비율)에도 불구하고 월세가 더 유리할 때도 있기 때문이다. 사실 전세는 집주인 입장에서 보면 손해 보는 장사라 할 수 있다. 예컨대 3억원에 주택을 매입해 1억 5000만원에 전세를 놓으면 나머지 1억 5000만원에 대해선 이자 비용을 포기하는 것이다. 주택 유지·보수비에 앞으로는 다주택자에 대한 세금까지 붙는다. 요즘 같은 저금리 기조에서는 마땅한 자금 운영처를 찾기도 쉽지 않다. 이에 ‘부동산 불패신화’가 깨진 임대시장에서 집주인들이 월세를 선호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최소한 늘어난 전세금만큼이라도 월세로 돌려 보증부 월세를 받자는 움직임이 그렇다.

●3억 육박 전세주택 월세 전환율 6% 이하 땐 ‘월세’ 유리

보증부 월세의 경우 전세 2억원인 아파트를 보증금 5000만원에 월세 120만원의 조건으로 계약한다면 연간 월세 부담은 1440만원이 된다. 여기에 보증금에 대한 이자 부담(연 5%·250만원)까지 감안하면 총액은 1690만원에 달한다. 반면 전세 2억원인 아파트를 전액 대출받으면 연간 1000만원(연 5%)만 내면 돼 690만원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 같은 차이는 세입자가 서민·근로자 전세자금대출(연 4%대)을 받을 경우 더욱 벌어지게 된다.

다만 월세라고 모두 불리한 것은 아니다. 전세금이 비쌀수록 더 낮은 월세 전환율이 적용되는 덕분이다. 예컨대 전세금이 3억원에 가깝고 월세 전환율이 6% 이하라면 월세가 더 유리할 수 있다. 은행에 기존 전세대출금이 있을 경우 집주인에게 보증금 중 일부를 돌려받아 빚을 갚고 보증부 월세를 택한다면 연간 수백만원까지 비용이 절감된다.

임일섭 농협경제연구소 거시경제센터장은 “전세가 지금까지 서민에게 마냥 불리한 제도는 아니었다.”면서 “주택 구매를 위한 목돈이 없었을 경우 전세는 월세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비교적 양호한 주거 환경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줬다.”고 설명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9-24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