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8% 적금의 배신

年8% 적금의 배신

윤연정 기자
입력 2020-06-17 20:56
업데이트 2020-06-18 02: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동이체·보험 가입·카드 실적 없나요?… 그럼 1%대입니다

이미지 확대
시중은행이 기준금리가 연 0.5%인 제로 금리 시대를 맞아 핀테크 업체가 내놓은 연 2% 이상 금리 상품에 맞서 고금리 상품을 내놨지만 소비자 반응은 싸늘하다. 제휴 카드 사용 실적 등 우대 조건이 까다롭고 실제 받을 수 있는 이자도 적어 고금리를 앞세운 ‘꼼수 마케팅’이라는 비판까지 나온다.

●핀테크 견제 은행들 ‘고금리 꼼수 마케팅’

17일 은행권에서 최근 출시한 금융 상품들을 보면 연 7~8% 수준의 높은 금리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이 이자를 받을 수 있는 가능성은 극히 적고, 이자가 현금이 아니라 해당 금융사의 포인트로 제공되기도 한다.

신한금융의 ‘신한플러스 멤버십 적금’은 최고 연 8.3% 금리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 그러나 기본금리는 연 1.2% 수준이고 우대금리(연 0.6%)를 포함해 최대 연 1.8% 정도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 우대금리는 적금에 대한 자동이체 연결(연 0.3%), 최근 3개월간 적금을 보유하지 않은 고객(연 0.3%)일 경우 적용된다.

적금 금리를 제외한 연 6.5% 금리는 신한금융 포인트로 제공된다. 이 중 연 1.5% 금리 혜택은 신한플러스 멤버십에 새로 가입한 뒤 신한체크카드를 석 달 이상 사용해야 받을 수 있다. 또 신한금융투자에서 주식거래를 처음 하거나 신한생명 인터넷 보험에 가입해야 각각 연 2%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카드사용, 주식거래, 보험가입을 하지 않고 월 30만원 6개월 거치 상품의 적금에 가입하면 이자는 9450원(세전 기준)에 그친다.

●조건 다 채워도 이자 대부분 포인트 지급

SC제일은행이 삼성카드와 함께 출시한 최고 연 7% 정기적금도 유사하다. 우선 가입 대상이 삼성카드 신규가입자나 가입 이후 카드 이용 내역이 6개월간 없는 경우로 한정된다. 선착순 4000명만 가입할 수 있다. 연 1.6%만 실제 받을 수 있는 이자이고 나머지 연 5.4%는 삼성카드를 매달 30만원 이상 사용할 때에만 캐시백 형태로 받을 수 있다.

우리은행이 지난 4월 현대카드와 함께 내놓은 최고 연 5.7% 금리의 ‘우리 매직 적금 바이(by) 현대카드’도 마찬가지다. 기본금리는 연 1.7%이고 우리은행과 처음 거래하거나 우리은행 계좌로 급여 등을 이체해야 연 0.5%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특별우대금리(연 3.5%)는 현대카드 이용 실적에 따라 달라진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실제 받을 수 있는 이자보다 실적 충족을 위해 사용해야 하는 카드 금액이 더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우대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세부 조건 등을 꼼꼼하게 따져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2020-06-18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