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 동력 발굴 지원 ‘신한 N·E·O Project’ 추진

신성장 동력 발굴 지원 ‘신한 N·E·O Project’ 추진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0-06-17 17:46
업데이트 2020-06-18 06: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ESG의 또 다른 축 상생경영

신한금융그룹 연합뉴스
신한금융그룹
연합뉴스
금융사가 할 수 있는 일들로 사회를 더 따뜻하게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신한금융의 ESG 경영 중 사회(Social)와 관련된 활동들은 단순한 생각에서 출발했다. 우리나라에서 다소 활발하게 논의되지 않았던 기후변화 등 환경(Environment) 분야와 달리 이른바 사회공헌 활동으로 친숙한 활동이다.

신한금융은 이달 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성장 동력 발굴을 지원하기 위한 ‘신한 N.E.O Project’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프로젝트에는 기존 혁신성장 대출·투자 공급액을 향후 5년간 85조원으로 확대하고, 2023년까지 디지털 스타트업에 1100억원을 투자한다는 계획이 담겨 있다.

●2023년까지 디지털 스타트업에 1100억 투자

또 한국판 뉴딜 정책의 목표인 고용 안정에 일조하고자 향후 5년간 6700명을 신규 채용하고 이 중 50% 이상을 디지털·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형 인재로 뽑겠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5년간 6700명 신규 채용… 50%는 ICT 인재로

아울러 스타트업을 지속적·장기적으로 지원하는 ‘신한 퓨처스랩’을 통해 육성된 기업들의 세계 진출도 돕고 있다. 신한금융은 핀테크 스타트업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고자 181억원을 직접 투자하기도 했다. 신한금융은 핀테크 기업을 포함해 모두 172개의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다. 신한금융 관계자는 “금융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는 신생 기업에 대한 투자”라면서 “물론 모험자본으로 분류될 정도로 투자가 실패할 수는 있지만, 전반적인 수익률을 따져 보면 금융사 입장에서도 큰 손해를 보는 일은 아니다. 금융사의 노하우가 사회공헌적 요소와 결합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말했다.

이 밖에도 신한금융은 서민 중금리 대출 확대, 중소기업 금융지원 강화 등 포용적 금융의 역할도 이어 가고 있다. 또 2018년부터 3년간 2700억원을 투입해 그룹 차원의 사회공동체 상생 플랫폼을 운영하고, 그룹 내 여성 리더 육성 프로그램인 ‘신한 SHeroes’를 운영하고 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20-06-18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