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택배 13억 2000만개… 식품이 전체 22% ‘최다’

작년 택배 13억 2000만개… 식품이 전체 22% ‘최다’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05-05 20:56
업데이트 2020-05-06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CJ대한통운 ‘일상생활 리포트’ 발간

경기 화성 2368만건 전국 최다 이용
1인당 평균 이용 많은 곳은 서울 중구
‘노재팬’효과 日브랜드 물량 28% 감소
BTS 얼굴 새긴 ‘레모나’ 190% 폭증
이미지 확대
지난해 CJ대한통운을 통해 배송된 택배는 13억 2000만개에 달한다. 이를 가로 35㎝ 상자 기준으로 일렬로 세우면 지구에서 달까지 편도로 도착하는 거리다. 15세 이상 인구 한 사람이 연간 29번의 택배를 이용한 셈이다.

CJ대한통운은 5일 이런 내용의 택배송장 빅데이터를 분석한 ‘2019~2020 일상생활 리포트’를 발간했다. 지난해 가장 많이 배송된 택배는 식품으로, 전체 물량의 22%를 차지했다. 이어 패션의류(20%), 생활건강용품(18%) 순이다.이 세 제품을 합친 게 전체 배송물품의 60%에 달했다. 식품 중에서는 가정간편식이 2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과자·간식·음료(22%), 신선식품(22%), 영양제(21%) 등의 순이다.

한국인들은 패션품목 중에서는 무채색을 단연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랙(38%), 화이트(15%), 그레이(9%)를 합하면 62%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인구가 몰린 수도권의 택배 이용이 많았다. 전국에서 CJ대한통운 택배를 가장 많이 이용한 곳은 경기 화성시(2368만 7000건)였다. 서울 강남구(2114만 2000건), 경기 부천시(1929만 9000건), 서울 송파구(1836만 7000건), 경기 남양주시(1664만 9000건) 순이다. 1인당 평균 이용 횟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서울 중구로 지난 한 해 평균 1인당 58.9번을 이용했다. 이어 서울 강남(44.2), 대구 중구(41.9), 서울 종로(40.9), 부산 강서(36.9) 등이 뒤를 이었다.

서울 송파구의 한 아파트는 지난해 CJ대한통운 택배만 15만 상자 이상 배달됐다. 한 건물당 택배발송이 가장 많았던 곳은 충북 영동군의 한 상가(2만 9000개)였다.

메가트렌드로 자리잡은 유튜브 관련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관련 물량도 증가했다. 지난해 개인방송을 위한 짐벌·조명 등 물량이 전년 대비 34%나 증가했다. 일본과의 무역갈등으로 촉발된 ‘노재팬’(일본산 불매운동)의 효과로 라이프스타일 관련 일본 브랜드 물량은 전년보다 28% 감소했고 한국 브랜드는 46%나 증가했다. 코로나19 사태의 영향도 뚜렷했다. 지난 2월 마스크(전월 대비 1097%↑) 등 개인위생용품 물량이 급증했고 사회적 거리두기의 장기화로 라면과 간편조리식, 생수 등 식품 물량의 변화도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비타민 제품 ‘레모나’의 택배량은 전월보다 190% 급증했다. 세계적 아이돌그룹 ‘방탄소년단’(BTS) 멤버들의 얼굴이 새겨진 ‘레모나 BTS 패키지’가 판매돼서다. 지난해 하반기에는 짜장라면과 너구리라면의 택배량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상반기의 마지막인 5월 30일을 기점으로 짜장라면은 207%, 너구리는 393%나 증가했다. 영화 ‘기생충’이 개봉한 날이 바로 5월 30일이라서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05-06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