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칼텍스도 어닝쇼크… 정유 ‘빅4’ 적자만 4조

GS칼텍스도 어닝쇼크… 정유 ‘빅4’ 적자만 4조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05-11 23:34
업데이트 2020-05-14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분기 1조 318억 영업손실… 역대 최대

정유업계, 최악인 6년 전보다 적자 3배
GS칼텍스 여수공장 전경
GS칼텍스 여수공장 전경 GS칼텍스 제공
GS칼텍스가 올해 1분기에 1조원이 넘는 적자를 냈다. 창사 이후 최대의 적자 규모다. 이로써 SK이노베이션,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 4사를 합쳐 올 1분기에만 적자가 4조원을 넘었다.

GS칼텍스는 연결 기준 1분기 매출액이 전년 대비 11.1% 감소한 7조 715억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손실은 1조 318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고 11일 밝혔다. 이에 따라 GS칼텍스의 모회사이자 GS그룹의 지주사인 GS는 1분기 ‘어닝쇼크’ 수준의 실적을 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석유 수요가 줄었고 유가 급락 사태가 겹치면서 대규모 재고 관련 손실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석유화학 부문에서는 202억원, 윤활유 부문에서 672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지만 재고 관련 손실이 반영된 정유 부문에서 1조 1193억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로써 정유업계는 1분기에만 손실이 4조원을 돌파했다. 앞서 에쓰오일이 1조 73억원, 현대오일뱅크가 5632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SK이노베이션도 1조 7752억원의 적자를 냈다. 여기에 GS칼텍스까지 더하면 4개사를 합쳐 1분기에만 총 4조 3775억원의 손실을 냈다. 정유업계가 분기 기준 최악의 실적을 냈던 2014년 4분기(1조 2000억원대)와 비교하면 적자가 3배 이상 커졌다.

GS관계자는 “GS칼텍스 실적이 대폭 감소한 것은 원유 산유국 간 점유율 경쟁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유가 급락, 제품 수요 감소가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면서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도 지속적인 차입금 감축 노력 및 안정적 투자 규모 유지 등을 통해 재무 관리를 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2020-05-12 2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