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인력 역대 최대에도… 중기 “3만 5000명 더 필요”

외국 인력 역대 최대에도… 중기 “3만 5000명 더 필요”

강윤혁 기자
강윤혁 기자
입력 2024-01-09 02:33
업데이트 2024-01-09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 입국 근로자 16만 5000명

정부가 올해 고용허가제로 외국 인력(E-9)을 역대 최대 규모인 16만 5000명으로 늘렸지만 중소기업계에선 약 3만 5000명이 더 필요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는 8일 외국인 근로자를 고용하고 있는 중소제조업체 12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3년 외국 인력 고용 관련 종합애로 실태조사’ 결과 올해 외국인 근로자 고용 한도 상향에도 외국 인력 부족을 호소한 사업주가 29.7%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들 중소기업의 외국인 근로자 추가 필요 인력은 평균 4.9명이었다.

중기중앙회는 “이를 고용노동부 비전문 취업비자 활용업체 5만 4780개사를 기준으로 추정하면 1만 6270개사에서 약 7만 9723명에 대한 수요가 확인됐다”며 “결국 올해 역대 최대규모 외국 인력 도입에도 불구하고 추가로 약 3만 5000명이 필요해 총 도입 희망 인원은 20만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앞서 연도별 외국 인력 도입 규모는 2022년 6만 9000명, 2023년 12만명에 이어 올해 4만 5000명을 더 늘린 16만 5000명으로 결정된 바 있다.

중소기업이 내국인 근로자를 고용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열악한 작업 환경, 임금·복지 수준 등으로 인한 내국인의 취업 기피란 응답이 85.8%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조사 때보나 21.8% 포인트나 높아진 것이다. 또 현재 최장 9년 8개월인 외국인 근로자의 체류 기간에 대해 ‘5년 이상 추가 연장’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3.5%로 높게 나타났다.

중기중앙회 관계자는 “내국인 취업 기피가 극심해진 상황에서 중소기업들은 외국인 근로자를 더 많이, 더 장기적으로 고용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강윤혁 기자
2024-01-09 1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