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신종코로나 긴급연구에 10억 투입…“진단·치료제 개발”

정부, 신종코로나 긴급연구에 10억 투입…“진단·치료제 개발”

입력 2020-02-06 14:20
업데이트 2020-02-06 14: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과기부·행안부·질본, 4개 과제 공고…이달 연구기관·책임자 선정

이미지 확대
‘6시간 만에 확인 가능’ 신종코로나 진단 키트 공급 예정
‘6시간 만에 확인 가능’ 신종코로나 진단 키트 공급 예정 질병관리본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 4일 긴급 사용을 승인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시약 키트가 오는 7일부터 질병관리본부가 지정한 병원 50여곳에 공급된다. 사진은 긴급 사용 승인된 신종코로나 진단시약 키트. 2020.2.6 연합뉴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연구개발(R&D)에 올해 약 10억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행정안전부,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사업’을 활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단제 및 치료제 개발을 지원한다고 6일 밝혔다.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 연구사업은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처럼 예기치 못한 사회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된 사업이다. 기존 R&D 사업은 과제 기획부터 수행까지 1~2년 정도가 걸리지만, 긴급대응 사업의 경우 관련 행정절차가 단축돼 과제가 정해지면 수주 내 연구를 시작할 수 있다. 올해 긴급대응 사업의 예산은 50억원이며, 이 중 10억원을 신종 코로나 연구에 지원한다.

정부는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신속진단제(Rapid Kit) 개발 ▲ 인공지능 기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재창출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위해도 평가를 위한 바이러스 특성 연구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지 역학 정보 및 자원 수집·제공 등 네 개 과제를 선정했으며, 과제당 2억5천만원 정도를 투자한다.

‘신속진단제 개발’ 과제에서는 검체 전처리 과정과 진단 시약 개발을 수행한다. ‘치료제 재창출’ 과제에서는 현재 치료제로 이용되는 약물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도 효과가 있는 약물을 찾는다.

‘바이러스 특성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연구진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병원성, 감염력, 면역력 등 생물학적 정보를 분석해 방역 당국에 전달하는 역할을 맡고, ‘발생지 역학 정보 및 자원 수집·제공 연구’ 과제에서는 국내외 신종 코로나 감염증 발생률과 분포율을 분석하게 된다.

과기정통부와 행안부는 연구가 신속히 진행되도록 이달 내 연구 수행기관과 연구책임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날 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에 참석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하는 시약 개발과 이 바이러스 감염증에 효과가 있는 약을 선별하는 것이 시급하다”면서 “개발 시기를 말하긴 쉽지 않지만, 시일내 성과가 나올 수 있게 연구진과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