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대] 자긍심과 글로벌 마인드/박현정 크레디트 스위스 기업커뮤니케이션 이사

[글로벌 시대] 자긍심과 글로벌 마인드/박현정 크레디트 스위스 기업커뮤니케이션 이사

입력 2010-03-08 00:00
업데이트 2010-03-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번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시상대 위에서 익살스럽게 ‘시건방춤’을 추던 우리 선수의 모습은 유쾌하고 사랑스러웠다. 그런 자신감과 여유라면 자기보다 역량이 월등한 선수라고 해서 괜히 기가 죽거나 역량이 많이 뒤처지는 선수라고 해서 함부로 무시하진 않을 것 같았다.

이미지 확대
박현정 크레디트스위스 기업커뮤니케이션 이사
박현정 크레디트스위스 기업커뮤니케이션 이사
거리낌 없이 자신의 성취를 즐기며 스스럼없이 타국의 선수들과 어울리는 그들의 모습에서 한국의 젊은 세대의 글로벌 감성지수는 기성세대와 비교해 확연하게 높아졌음을 실감할 수 있었다. 이번 동계올림픽에서 우리 선수들이 보여 준 신선한 면모는 그들 세대를 G세대로 명명하고 새롭게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세계적인 소비자 트렌드 연구기관인 트렌드워칭닷컴은 또 다른 의미의 G세대의 등장을 논한 바 있다. 여기서의 G세대는 관대함(Generosity)을 특징으로 하는 젊은 세대를 말한다.

극단적 주주이익 우선주의를 표방하는 기업들을 혐오하는 이들은 환경과 사회적 이슈에 진정성을 가진 기업, 나아가 공공의 선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을 지지한다. 또한 온라인으로 소통과 협력이 일상화된 새로운 세대이기도 하다.

글로벌을 상징하는 G세대나 관대함을 상징하는 G세대 모두 건강한 자긍심을 갖고 있다는 데 그들의 공통점이 있다. 자긍심은 긍정적인 자아상을 토대로 길러진다. 자긍심이 있어야만 타인의 시선에 집착하지 않고 가감없이 자신을 바라볼 수 있고 보다 시야를 넓혀 다른 이들을 포용할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다.

많은 이들이 글로벌 마인드의 중요성을 말한다. 하지만 정작 우리 스스로 우리 역사와 문화 그리고 현재 모습에 대해 자긍심이 없다면 글로벌 마인드는 요원한 것이다. 우리 자신을 왜곡되지 않은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어야만 비로소 진정한 의미의 글로벌 마인드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선진국을 바라볼 때 우리는 무조건적인 선망이나 찬탄을 보내기 쉽다. 때로는 그것이 우리 자신에 대한 폄하로 이어진다. 역사적·문화적 맥락의 차이 그리고 시간의 간극을 무시한 단순비교의 우를 범하는 것이다.

‘미국이나 선진국은 이런데 한심하게 우리나라는 아직도 이 모양이다.’라는 식의 극단적 이분법은 그간 한국이 고속성장을 이루는 데 건설적인 모티브로 작용하기도 했지만 우리에게 불필요한 자기 비하와 주변부 열등감을 조장한 면이 없지 않다.

이 같은 태도는 후진국을 방문해선 우리 관점으로 그 나라를 함부로 재단하는 우로 이어진다. ‘딱 우리나라 70년대 수준이군.’ 이 같은 우월한 시선은 필요 이상의 부정적 일갈이나 무시로 이어진다. 둘 다 성숙하지 못한 태도다.

글로벌 기업에서 오랫동안 근무하게 되면 세상을 바라보는 잣대와 가치관이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서구 편향적인 관점으로 변하기 쉽다. 여전히 전 세계 글로벌 기업의 80% 가까이는 북미와 유럽기업들이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에 현대의 기업 생태계는 영미권의 경영방식과 기업문화를 근간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유학한 후 대한민국 사회에서 주류를 이룬 일부 기성세대가 보였던 숭미주의적 태도도 이런 메커니즘과 크게 다르진 않을 것이다.

누구나 자신의 경험치를 뛰어넘는 시야와 이해의 폭을 갖기 쉽지 않은 법이다. 하지만 지구촌 자체가 역동적인 다문화사회가 되어가는 요즘 좀 더 자긍심을 가지고 균형잡힌 세계관을 지향하려는 노력이 필요하지 않을까.

우리는 이번 동계올림픽에서 비록 메달은 못 땄지만 묵묵히 비인기종목에서 자신의 벽을 넘기 위해 땀 흘린 많은 이름 없는 선수들이 보여 준 감동을 경험했다. 자긍심은 경제올림픽이든 문화올림픽이든 지구촌 올림픽에 출전한 선수 모두가 마땅히 누릴 몫이다. 그리고 글로벌 마인드는 나뿐만 아니라 다른 이들의 자긍심도 공감하고 배려할 줄 아는 마음이다.
2010-03-08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