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분지(盆地)적 사고/이춘규 논설위원

[씨줄날줄] 분지(盆地)적 사고/이춘규 논설위원

입력 2010-03-08 00:00
업데이트 2010-03-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분지(盆地)는 주위가 산지로 둘러싸인 평평한 지역을 말한다. 위치에 따라 산간분지, 내륙분지로 나눈다. 생성원인에 따라서는 침식분지, 퇴적분지 등으로 불린다. 미국 서부의 대분지는 산간분지이며 아프리카의 알제리는 침식분지다. 우리나라에서는 대구가 유명한 분지다. 중국의 수도 베이징도 분지다. 파리, 런던도 지층이 아래쪽으로 완만하게 변형되며 형성된 분지다. 분지에 정치경제의 큰 도시가 발달했음을 알게 된다.

삼국시대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 동쪽에는 구미산, 남서쪽에는 단석산, 남쪽에는 남산(금오산), 동쪽에는 토함산과 여러 산들로 둘러싸인 분지다. 백제의 수도였던 충남 부여도 분지 지형이다. 고구려의 수도였던 평양도 평양대동강분지에 속해 있고, 후삼국 시대 궁예의 태봉이 도읍했던 철원도 분지지형이다. 조선왕조 500년 도읍지 서울도 분지형 지역으로 분류된다. 이처럼 분지 지역은 우리민족 역사와 흥망성쇠를 함께했다.

분지는 기후변화가 혹독하다. 대구는 여름에 기온이 40도까지 올라간다. 일본도 분지지역은 무덥다. 도쿄 북쪽에 있는 군마현이 대표적이다. 사방이 2000m 안팎의 고산이다. 여름에는 40도를 오르내리고 겨울에는 춥다. 자연환경이 혹독해 사람들이 이를 극복하기 위한 지혜를 짜내다 보니 ‘인물’이 많다고 한다. 외부 진출 욕구도 강한 진취적 성격을 갖게 된다고 일본의 한 교수가 설명했다.

실제 군마현은 경제력이 강하지 않은 광역단체지만 4명의 총리가 나온 곳이다. 후쿠다 다케오, 나카소네 야스히로 등 현대 일본정치사에 큰 족적을 남긴 총리의 출신지다. 오부치 게이조, 후쿠다 야스오 총리도 군마현 출신이다. 메이지유신 주역들의 고향으로 총리를 8명이나 배출한 야마구치현에 이어 일본 47개 광역단체 중 총리를 두 번째 많이 배출했다. 역시 분지인 대구지역 연고의 대통령이 3명이나 되는 것과 연결시키면 흥미롭다.

세종시 역차별 논란에 휘말린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 5일 대구에 가 “포항과 연결되고 낙동강이 뚫린 만큼 대구가 내륙이라 불리하다는 사고에서 벗어나서 생각을 크게 해야 한다.”면서 “분지적 사고를 하면 안 된다.”고 말해 화제다. 또 “대구·경북이 어떤 지역인데 만날 피해의식을 갖고 손해 본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면서 “대구가 분지 생각에 제한돼 있고 그 안에서 네 편 내 편 가르면 어떻게 발전하겠느냐.”고 토로했다. 분지는 예나 지금이나 정치경제의 중심 무대가 되고 있다.

이춘규 논설위원 taein@seoul.co.kr
2010-03-0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