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1센트의 양심/김성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1센트의 양심/김성호 논설위원

입력 2010-07-24 00:00
업데이트 2010-07-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을철 털갈이한 짐승에 돋은 털 추호(秋毫). 털갈이 끝, 새로 난 털이니 오죽 볼품없을까. 사람이나 길짐승 몸의 털인 터럭도 하잘것없음을 비유하긴 마찬가지. 생활의 반복에서 얻은 지칭인 말의 묘미. 추호나 터럭처럼 작은 사소함의 뉘앙스를 지닌 말은 이것말고도 흔하다. ‘손톱 때’, ‘반푼어치’, ‘새발의 피’…. 생활속에 새록새록 입에 올리는 말들의 맛과 묘미란 알아갈수록 실감이 난다.

이 추호와 터럭, 손톱 때의 사소함은 우리 생활에서 자주 이익과 손실의 대립으로 등장한다. 그중 하나가 바로 상품 판매에 흔히 쓰는 ‘숫자 9’의 상술이다. 990원, 9900원, 9만 9000원…. 숫자 9의 나열로 완전한 숫자 10에 조금 못 미친 듯 어필하는 고차원의 판매전략이다. 터럭이나 손톱 때만큼일망정, 가격의 덤에 만족하는 소비자의 심리를 역이용한 마케팅. 언제부터인가 우리 주변에도 숫자 9의 상술은 흔한 게 되어버렸다.

이 숫자 9의 잘못된 상술이 미국에서 한바탕 홍역을 치를 모양이다. 상점의 모든 물건들을 1달러도 안 되는 값에 판다는 저가의 서민잡화점 ‘99센트 온리 스토어’. 1982년 문을 연 지 26년만에 물건 값을 99센트에서 99.99센트로 올렸다는데. 사전 고지없이 전격 조치한 1센트, 아니 0.99센트의 가격 인상에 반발한 소비자들이 집단소송을 제기했단다. 1센트의 양심파기에 대한 대가를 ‘99센트 온리 스토어’측은 톡톡히 치러야 할 판이다.

이 1센트의 양심파기가 미국 잡화점만의 일일까. 우리 먹거리와 일상용품의 용량미달과 부실 재료는 다반사다. 약자 입장이기 일쑤인 소비자의 권리외침이 높아가는 추세라지만 1센트의 사기는 여전히 홍수를 이루고 있다. 이달부터 시행하는 권장소비자가격표시 금지만 해도 유치한 눈속임으로 소비자를 우롱하고 있는 판이니. 제조사 대신 유통업자가 값을 매기도록 했지만 상품 포장에 알쏭달쏭한 암호 같은 표시로 사실상 값을 제시하고 있으니. 1센트의 양심은 어떤 모습으로 변환파기될지 모를 일이다.

보건복지부가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3조 7000억원 늘어난 수준으로 확정해 기획재정부에 요청했단다. 빈곤층, 서민을 배려했다는 복지부 주장에 야당의원들은 국민 기만이라며 각을 세우고 있는데. 각 부처 예산을 놓고 옥신각신 벌어질 줄다리기가 눈에 선하다. 정작 수혜자인 서민들은 그 천문학적 예산엔 별 관심이 없을 텐데. 저 멀리 미국땅서 전해진 ‘1센트의 항거’에 귀를 기울여봄이 어떨지….

김성호 논설위원 kimus@seoul.co.kr
2010-07-24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