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리콴유/박홍기 논설위원

[씨줄날줄] 리콴유/박홍기 논설위원

입력 2011-05-17 00:00
업데이트 2011-05-17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싱가포르 리콴유(李光耀·87) 전 총리는 1994년 미국의 외교잡지 ‘포린 어페어스’(Foreign Affairs) 3·4월호에 ‘문화는 숙명이다’라는 글을 기고했다. 글에서 “아시아는 가부장적 문화 전통 때문에 서구의 민주주의는 맞지 않는다.”라며 문화적 숙명론을 폈다.

정계를 떠나 아태평화재단 이사장으로 있던 김대중 전 대통령은 같은 잡지에 ‘문화는 숙명인가’라는 반박 글을 썼다. “맹자는 ‘군왕은 하늘을 대신해 백성의 행복을 실현시킬 의무가 있다. 실패했을 때 백성은 군왕을 권좌에서 물러나게 할 수 있다’고 했다. 문화가 숙명이 아니라 민주주의가 숙명이다.” 이른바 아시아적 가치 논쟁이다. 논쟁은 피플 파워가 성장해 아시아 여러 나라가 민주화되면서 김 전 대통령의 승리로 끝났다.

싱가포르는 1965년 말레이시아로부터 내쫓기다시피 독립했을 때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500달러에 불과했다. 동남아시아의 약소국(弱小國)에 지나지 않았다. 독립 46년째인 올해 1인당 GDP는 5만 7238달러로 카타르, 룩셈부르크에 이어 세계 3위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싱가포르의 전체 GDP는 말레이시아의 2478억 달러를 누를 것으로 전망했다. 명실공히 강소국(强小國)이다.

도시국가로서 세계적인 금융·물류 중심지인 현재의 싱가포르를 만든 주인공이 바로 1990년 11월 퇴임, 선임장관을 거쳐 고문장관에 재직하던 리 전 총리다. 아시아 ‘네 마리 용’의 반열에 올려놓은, 세계가 주목한 정치 지도자다. 국부(國父)로 불리는 이유다. 리 전 총리는 총리 재임시절인 1959~1990년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 경제성장뿐 아니라 부정부패도 뿌리뽑았다. 측근 비리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댔다. 지난해 ‘청렴도 1위 국가’로 선정됐을 정도다. 무단횡단, 쓰레기 투기, 침 뱉기, 금연지역에서의 흡연에 과중한 벌금과 태형 등을 매겼다. 때문에 ‘개발 독재’의 주역이라는 부정적인 평가도 없지 않다.

지난 1월 한 신문에서는 “내가 죽거든 지금 살고 있는 집을 기념관 같은 국가적 성역(聖域)으로 만들지 말고 헐어 버리라.”며 지도자의 면모를 보여줬다. 리 전 총리는 지난 14일 고문장관직을 전격 사임했다. 젊은 층으로부터 ‘정치 후진국’이라는 거센 비판에 직면한 상황에서다. 장남인 리셴룽(李賢龍·59) 총리의 수렴청정을 끝내겠다는 것이다. 성명에서 “새로운 정치 상황이 도래했다.”고 밝혔다. 싱가포르에 리 전 총리가 거부했던 서구식 민주주의가 올지는 두고봐야 할 것 같다.

박홍기 논설위원 hkpark@seoul.co.kr

2011-05-17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