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박경리 문학상/우찬제 문학비평가·서강대 교수

[시론] 박경리 문학상/우찬제 문학비평가·서강대 교수

입력 2011-07-26 00:00
업데이트 2011-07-2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우찬제 문학비평가·서강대 교수
우찬제 문학비평가·서강대 교수
맨손체조를 하다가 불편해서 보니 두 발 사이가 어깨너비보다 턱없이 좁다. 처음 따라하던 초등학교 시절 벌렸던 그 너비였을까. 세 살 적 버릇 여든까지 간다더니? 어쩌면 로렌츠의 오리새끼처럼 각인효과에서 벗어나지 못한 탓이었는지도 모른다.

그 각인효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한 자연 다큐멘터리가 자크 페렝 감독의 ‘위대한 비상’이다. 기러기, 검은목두루미, 흰펠리칸 등 35종이 넘는 철새들이 악천후 등 온갖 역경을 넘어서 아름답고도 위대한 비상을 하는 모습을 카메라로 담아 감동을 주는 작품이다. 이를 위해 40여명의 수의사를 동원해 알에서 부화했을 때부터 효과적인 각인 작업을 했다고 한다.

작년에 한 국제도서전에서 한국의 아동물이 외국인들의 관심을 끄는 것을 보고 참 좋은 징조라고 생각했다. 사람은 오리새끼와는 다른 존재이지만, 그래도 어린 시절 각인된 이미지는 오래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국의 좋은 동화책이 한국과 한국문화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될 수도 있을 터이기 때문이다. 얼마 전 미국 로스앤젤레스의 서점에서 한국작가의 소설이 매장에 제법 많이 쌓여 있는 것을 보고 흐뭇했다. 동화에서 소설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이 서서히 ‘위대한 비상’을 준비하는 과정이기를 바라는 마음이었다.

해마다 노벨문학상을 발표하는 10월이면 한국 작가의 수상 가능성을 점치면서, 한국문학의 세계화 가능성에 대해 얘기한다. 물론 우리는 노벨문학상 수상이 목표가 아님을 잘 안다. 진정한 의미에서 한국문학의 세계화란 한국문학의 이름으로 세계인과 넓고 깊게 소통하여, 서로의 아픈 상처를 위로하면서 새로운 심미적 희망을 찾아나가는 고단한 그러나 진실한 과정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많은 세계인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양질의 작품 번역과 다각적인 보급의 중요성은 기본 전제가 된다. 그 전제 아래 ‘세계 문학 속의 한국문학 독자 만들기’ 작업이 역동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좋은 한국문학 독자들을 폭넓게 창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국면에서의 콘텐츠가 필요하다. 일차적으로는 잘 번역된 좋은 작품이겠고, 이차적으로는 해당 언어권에서 소통될 수 있는 의미 있는 한국문학 담론 개발이 요긴하다. 좋은 문학 담론이 있어야 독자들에게 맥락도 제공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준 높은 홍보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좋은 번역을 위해서 한국문학번역원을 비롯해 결코 짧지 않은 기간 동안 다각적인 노력을 해 왔다. 다만 한국문학 담론 소통 작업은 아직 초보적인 수준이다. 더 많은 세계인들이 한국문학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각인할 수 있는 다양한 한국문학 담론을 소통시킬 수 있는 역동적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국내외의 한국문학 담론장과 다양한 주체들의 공동 노력도 필요하고, 국제한국학과의 연계 작업도 효과적일 수 있다. 수준 높은 세계문학과 한국문학의 상호각인을 위한 탄력적인 작업도 필요하다. 아직은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의 장에서 소수문학일 수밖에 없지만, 그럼에도 세계문학 담론 장에서는 더 이상 소수가 아니었으면 좋겠다.

대하소설 ‘토지’에서 “창조의 능력이 없다는 것은 사랑이 없다는 얘기”라며 “창조는 생명”이라고 강조했던 작가 박경리 선생을 기리는 문학상이 제정되었다. 국내 문학상이 아니라 세계 작가들을 대상으로 하는 세계적인 문학상이라고 한다.

그 소식을 접하고 나는 한국문학이 깊고 넓어질 계기가 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세계인들에게 한국문학에 대한 관심을 환기할 수 있는 장치도 되려니와, 지구상의 다양한 세계문학들과 진정하게 소통하면서 한국문학의 새로운 비상을 모색할 수도 있으리라는 기대도 생겨났다.

아무쪼록 여러 곳에서, ‘한국문학의 세계화’와 ‘세계문학의 한국화’가 어우러져 새로운 문학적 생명을 창조하는 데 보탬이 될 수 있는 담론들의 향연이 넉넉했으면 좋겠다.
2011-07-2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