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객주/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객주/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1-09-06 00:00
업데이트 2011-09-06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업자본주의는 시간차에 기반을 둔다. ‘새로운 제품’ 대 ‘유행이 지난 제품’이라는 구도다. 신제품이 아니면 팔리지 않기 때문이다. 반면 상업자본주의는 공간의 차이를 이용해 이윤을 창출했다. 바닷가 소금과 내륙의 곡물이, 개성 인삼과 중국 비단이 거래를 통해 이윤을 낼 수 있었던 것은 한 지역에서 나오는 물건이 다른 곳에서는 생산되지 않는 공간의 한계 때문이었다. 물물교환에 바탕을 둔 전통사회에서 공간차의 간극을 메워준 것이 보부상이다. 보부상은 봇짐(보따리)장수를 뜻하는 ‘보상’(褓商)과 등짐(지게)장수를 가리키는 ‘부상’(負商)의 합성어다. 보부상은 건어물, 옷감, 신발 등 일용잡화를 짊어지고 전국 각지를 돌아다녔으니 그들의 삶에는 시대상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이들의 물건을 맡아 흥정을 붙이고 잠자리도 제공하면서 동고동락하던 사람들이 객주(客主)다.

역사의 뒤편에 머물렀던 보부상의 삶을 문학으로 조명한 사람은 소설가 김주영이다. 그는 1979년 6월 1일부터 1984년 2월 29일까지 장장 1465회에 걸쳐 서울신문에 ‘객주’를 연재했다. “소설을 쓰기 위해 4~5년 정도 자료를 준비해 왔다. 한 4년 정도 걸릴 작품인데 지면 할애가 되겠느냐.”는 작가의 제의에 상업성에 구애받지 않은 서울신문이 과감히 지면을 내줘 햇빛을 보게 된 것이다. 객주는 1878년부터 1885년까지 8년간을 배경으로 보부상을 비롯한 백정·기생·천민 등 민초들의 사랑과 애환을 경상도 등 전국을 무대로 굴곡 없이 펼쳐보여 큰 인기를 끌었다. 객주는 왕조나 영웅의 이야기가 아닌 장사꾼을 주인공으로 전면에 등장시킴으로써 역사소설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 민중(民衆)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집단에 대한 서술을 시도하고, 인물 중심에서 삶의 양상으로 포커스를 옮겼다는 점에서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그의 치열한 작가정신도 화제가 됐다. 보부상과 관련된 자료 수집을 위해 전국의 장터를 누비다 충남 강경에서는 선착장 사람들에게 간첩으로 몰려 몰매를 맞는 촌극을 빚기도 했다.

김주영씨가 객주 속편을 쓴다고 한다. 보부상이 다니던 길이 남아 있는 경북 울진을 현지답사하는 등 연말까지 자료수집을 끝내고 내년에 집필할 예정이다. 산업자본주의건 상업자본주의건 물건을 사고팔고 교환하는 본질은 변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보부상은 아무리 사회가 바뀌어도 시대를 관통하는 경제의 주역이다. 디지털 시대에 그가 풀어낼 이야기는 어떤 울림을 가져올까.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1-09-0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