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머니볼’의 판타지/김민희 체육부 기자

[지금&여기] ‘머니볼’의 판타지/김민희 체육부 기자

입력 2011-12-17 00:00
업데이트 2011-12-17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민희 체육부 기자
김민희 체육부 기자
안 보려고 했다. ‘머니볼’이라는 야구영화. 올해 대부분을 야구를 보며 보냈는데 쉬는 날까지도 야구를 봐야겠느냐는 묘한 반발심이 있었다.

그런데 결국 봤다. 포스터 안에서 소년같이 해사한 얼굴로 파란 눈을 반짝이는 브래드 피트가 ‘영화표 안 끊고 뭐하고 있느냐.’고 말하는 것만 같아 차마 그를 외면하지 못했다. 나는 남자 외모에 약하다.

브래드 피트가 프로야구팀 단장처럼 보이려고 후줄근한 점퍼에 면바지를 입어도 여전히 근사하다는 걸 차치하고라도 이 영화는 근사했다. 세상에선 돈이 모든 것을 좌우하지는 않는다고, 심지어 돈으로 움직이는 프로 스포츠의 세계라고 할지라도 이변은 일어난다고 영화는 말하고 있었다.

실제 주인공인 미국 프로야구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빌리 빈 단장은 몸값이 비싼 선수 대신 부상을 당했거나 나이가 많아도 출루를 잘하거나 볼넷을 적게 내주는 선수를 썼다. 오클랜드는 지난 2000년 메이저리그 전체 25위의 연봉총액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극장을 나오는데 헛웃음이 나왔다. 체육부에서 일한 지난 1년간 내가 봐온 현장은 영화와는 사뭇 달랐다. 종목을 불문하고 돈이 많은 구단은 성적도 좋았다. 어떤 구단은 첨단시설을 지어 선수들의 훈련과 재활을 돕는데, 모기업이 없는 어떤 구단은 언제 팀이 해체될지 몰라 전전긍긍하며 경기에 나선다. 성적 차이가 안 날 수 없다. 한때 메이저리그를 떠들썩하게 했던 빌리 빈도 지금은 부진하다. 스포츠뿐만이 아니다. 이제 개천에서 용은 나지 않는다. 영화는 차라리 판타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언더도그’ 팀을 응원한다. 잘 이기는 팀이 인기도 많은 시절이라지만 스포츠에서까지 돈이 승리를 담보하는 모습을 보고 싶지 않다. 비록 매일 남부럽지 않게(?) 져서 울화통이 치밀긴 하지만, 그 핑계로 밤마다 통닭과 맥주를 먹어대는 통에 다이어트는 물 건너간 지 오래지만, 그래도 괜찮다. 나는 개천에서 용이 장엄하게 솟구치는 판타지에도 무척 약하다.

haru@seoul.co.kr

2011-12-17 2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