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국진 사회2부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01/SSI_20110401173654.jpg)
![강국진 사회2부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04/01/SSI_20110401173654.jpg)
강국진 사회2부 기자
고태규 서울시 하천관리과장과 박창근 관동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영락없이 ‘뚱뚱이와 홀쭉이’다. 고 과장이 풍채 좋은 아저씨 같은 반면 박 교수는 마른 체형에 꼬장꼬장한 딸깍발이 인상이다. 둘이 극력 대립하는 건 대심도 터널 때문이다. 고 과장은 홍수예방을 위해 필요하다고 말한다. 박 교수는 지난해 홍수 피해 이후 오세훈 전 시장이 급조한 졸속정책이자 토건세력 좋은 일만 시켜 줄 뿐이라고 본다.
얼핏 박 교수가 방문단에 포함된 게 신기하다. 그를 데려가자고 박 시장에게 추천한 게 고 과장이다. 직접 보면 박 교수도 느끼는 게 있을 거라고 생각했단다. 2005년 완공된 간다가와 환상 7호선 지하조절지는 하천이 범람하면 직경 10m가 넘는 지하터널을 통해 물을 지하 깊은 곳에 일시 가두는 시설이다. 저류량은 54만㎥에 이른다.
언론 홍보전도 치열했다. 각자 열정적으로 논리를 설파했다. 그러다가 눈이라도 마주치면 신경전도 마다하지 않는다. 박 교수가 “환경단체에서 당신을 직위 해제하라고 요구하는 걸 내가 말렸다.”고 엄포(?)를 놓으면, 고 과장은 “전문가 체면 때문에 내 말이 맞다는 걸 인정하지 못하는 것 아니냐.”며 맞받아친다. 자세히 보면 둘 다 눈에 웃음기가 가득하다.
솔직히 둘의 논쟁에 시시비비를 가릴 전문적 안목은 없다. 그래도 반대론자를 동참시켜 자문하고, 쉴 새 없이 토론하면서도 서로를 인정하는 모습에서 ‘대화와 토론을 통한 정책 결정’을 볼 수 있다는 건 분명하다. 이전 서울시장 시절엔 상상하기 힘든 모습이다. 이들이 더 열심히 싸울수록 정책은 정교해지고 서울시민은 더 행복해진다. 부디 앞으로도 두 분이 더 열심히 싸우시길 바란다.
betulo@seoul.co.kr
2012-02-13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