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동대문경찰서가 종로6가 대학천시장의 서적상과 만홧가게를 수색해 불량만화 2만여권과 외설서적 700여권을 압수했다는 1966년 1월 13일 자 기사가 있다. 서적과 만화를 도매로 판매하는 서점들이 몰려 있는 대학천시장의 책방거리는 청계천 평화시장 맞은편에 지금도 남아 있다.
평화시장의 헌책방에서는 헌책을 싼 값으로, 이곳에서는 새 책을 저렴하게 살 수 있는 곳이다. 복개된 대학천은 낙산 서쪽과 응봉 남쪽 기슭에서 흘러나와 동대문 안에서 청계천과 합류하는 하천인데 동숭동 옛 서울대 앞을 흐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원래의 이름은 흥덕동천이다.
사진은 압수된 외설만화들이다. ‘가짜 여대생’ ‘놀아난 청춘’ 같은 제목이 보인다. 인터넷에서 ‘야설’을 쉽게 볼 수 있고 음란 사진이나 동영상이 넘쳐나는 요즘 기준으로 보면 저 정도는 ‘외설’에 해당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아마도 압수된 책 중에는 속칭 ‘빨간책’이라고 불리던 외설서적과 ‘펜트하우스’ ‘허슬러’ 같은 도색잡지가 포함돼 있을 것이다. ‘빨간책’이라는 은어는 재생용지로 만든 음란 서적의 겉표지가 빨간색인 데서 나왔다고 한다. ‘꿀단지’ ‘폭포수’ 같은 야릇한 제목을 단 이런 저속한 서적들은 당시에 중고생들 사이에서 은밀하게 나돌았다. 1970년대부터는 본격적인 성인만화가 만홧가게에서 청소년들을 유혹했다. 그중 하나인 ‘김일성의 침실’의 부제목은 엉뚱하게도 ‘실록 반공극화’였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사진은 압수된 외설만화들이다. ‘가짜 여대생’ ‘놀아난 청춘’ 같은 제목이 보인다. 인터넷에서 ‘야설’을 쉽게 볼 수 있고 음란 사진이나 동영상이 넘쳐나는 요즘 기준으로 보면 저 정도는 ‘외설’에 해당되지 않을지도 모르겠다. 아마도 압수된 책 중에는 속칭 ‘빨간책’이라고 불리던 외설서적과 ‘펜트하우스’ ‘허슬러’ 같은 도색잡지가 포함돼 있을 것이다. ‘빨간책’이라는 은어는 재생용지로 만든 음란 서적의 겉표지가 빨간색인 데서 나왔다고 한다. ‘꿀단지’ ‘폭포수’ 같은 야릇한 제목을 단 이런 저속한 서적들은 당시에 중고생들 사이에서 은밀하게 나돌았다. 1970년대부터는 본격적인 성인만화가 만홧가게에서 청소년들을 유혹했다. 그중 하나인 ‘김일성의 침실’의 부제목은 엉뚱하게도 ‘실록 반공극화’였다.
손성진 국장 sonsj@seoul.co.kr
2013-01-24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