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국 사회부 기자
황교안 법무장관 후보자가 지난달 28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한 말이다. 검찰에서 옷을 벗고 나와 대형로펌에서 고액의 급여를 받은 점이 논란이 되자 기부 의사를 밝힌 것이다. 그는 로펌에서 17개월간 모두 16억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황 후보자의 변호사 시절 사건 수임 내역과 수임 액수 등은 자료 제출 거부로 확인할 길이 없다.
모양새가 이상하다. 수임료를 밝힐 수는 없지만 월 평균 1억원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고, 이는 국민에게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으니 일부 기부하겠다는 맥락으로 읽힌다. 기부 발언도 황 후보자의 전관예우를 질타하며 “기부할 용의가 있느냐”는 야당 의원의 질문 끝에 나왔다. ‘억지 기부’인 셈이다.
한 예능프로그램에서 웃음 소재로 활용되는 ‘억지 기부’가 국무위원을 임명하는 자리에도 등장한 것이다. 웃지 못할 일이지만 더욱 개탄스러운 것은 이런 ‘억지 기부’가 전혀 낯설지 않아서다.
지난달 초로 거슬러 올라가 보자. “재임 기간 6년간 받았던 전액(약 3억원)을 사회에 환원할 용의가 있다.”
위장전입, 증여세 탈루, 대기업 협찬 요구 등 수많은 의혹 끝에 자진 사퇴한 이동흡 전 헌법재판소장 후보자가 특정업무경비 횡령 의혹까지 퍼지자 ‘사회 환원’ 카드를 꺼내들었다. 하지만 여론의 반전은 없었다. “헌재 소장은 3억원 내고 사는 자리”, “돈 줄 테니 그만 떠들라는 말인가” 등 이 전 후보자에 대한 비난은 더욱 거세졌다. 이 전 후보자의 언론 플레이는 결국 자충수가 됐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꼼꼼하게 관리해 온 3억원은 굳었다.
정홍원 국무총리가 공식업무 첫날 찾은 곳은 서울 정동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다. 정 총리는 성금 1억원을 기부했고 이튿날 일부 아침신문들은 ‘명재상’, ‘사회적 약자 배려 메시지’ 등의 표현을 써 가며 정 총리를 추어올렸다. 정 총리 역시 인사청문회에서 대형로펌 고문변호사 재직 시 불어난 재산이 논란이 되자 기부 의사를 밝혔다.
배경이야 어떻든 남을 돕는다는 것, 기부를 한다는 것은 좋은 일이다. 하지만 최근 ‘높으신 분’들의 기부 움직임이 관직을 얻기 위한 ‘기부&테이크’로 비쳐지는 것은 그저 기자만의 느낌일까.
psk@seoul.co.kr
2013-03-02 26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