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언더스탠드’의 자세와 정부 3.0/홍성삼 충북지방경찰청장

[기고] ‘언더스탠드’의 자세와 정부 3.0/홍성삼 충북지방경찰청장

입력 2013-08-09 00:00
업데이트 2013-08-09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홍성삼 충북지방경찰청장
홍성삼 충북지방경찰청장
영어에 ‘언더스탠드’(Understand)라는 단어가 있다. 상대방 아래에(Under) 서 봐야(Stand) 그 사람을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이런 섬김의 자세는 사회생활을 하는 모든 사람, 특히 공직에 몸담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꼭 필요한 덕목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정부 3.0’이 화제다. 바야흐로 정부 3.0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정부 3.0은 공유, 개방, 소통, 협력을 기반으로 수혜자 유형별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경찰에서도 정부 3.0시대를 맞아 국민 눈높이에 맞는 ‘치안 3.0’ 서비스를 실천하는 데 혼신의 노력을 다해 오고 있다.

정부 3.0을 비롯한 여러 정책들도 어찌 보면 섬김의 덕목을 바탕으로 한 상호 이해와 발상의 전환에 근간을 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경찰뿐만 아니라 모든 공직자가 국민의 아래에 서서 국민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제대로 파악해 국민 개개인에게 맞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할 때인 것이다.

이런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경찰에서는 그동안 ‘4대 사회악 근절’을 중심으로 국민 맞춤형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왔다. 이 같은 노력의 결과 경찰청에서 실시한 2013년도 상반기 종합 체감안전도 조사에서 지난 해 하반기보다 체감안전도가 6.3%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는 등 가시적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여전히 만족도는 60%대에 머물고 있다. 경찰이 체감안전 만족도를 더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새 정부가 핵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정부 3.0의 가치를 치안활동에 보다 내실 있게 접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충북경찰에서는 전 직원이 참여하는 ‘정부 3.0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아카데미는 이론 위주의 탁상공론에서 벗어나 국민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초점을 두고 진행하고 있다. 그동안 충분한 학습을 통해 정부 3.0의 개념이 정립된 만큼, 문제점을 ‘진단’할 수 있고 해결방안까지 ‘처방’해 주는 ‘정부 3.0’이란 훌륭한 도구(?)를 적극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실무자들이 업무 추진과정에서 느낀 문제점 등을 ‘정보 공개·공유 확대, 소통 강화, 협업 증진, 맞춤형 서비스 개발’이란 4가지 핵심가치에 접목해 진단하고, 진단을 통해 도출된 문제점 등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일선현장에서 실천하고 있다.

경찰서 자체 112신고 처리 만족도 평가에서 최하위 점수를 받은 지구대 소속의 한 경찰관이 자신의 잘못된 행태를 스스로 진단하고 처방까지 내려 앞으로는 국민에게 인정받는 경찰관으로 거듭나겠다는 발표를 접할 때에는 잔잔한 감동마저 느꼈다. 언더스탠드라는 섬김의 자세가 없었더라면 이런 용기를 내지 못했을 것이다. 정부 3.0 아카데미가 그 진가를 발휘한 좋은 사례라고 생각하며, 이런 열린 마인드를 가진 직원이 있는 한 체감안전도는 빠른 시일 내에 크게 향상되리라는 확신을 얻기도 했다.

Understand의 자세로 정부 3.0의 참된 가치를 이해하고, 국민 눈높이에 맞는 다양한 치안 서비스를 발굴·실천해 국민의 체감안전도를 높이는 데 경찰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2013-08-09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