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희령의 다초점 렌즈] 어설픈 개인주의자의 고백/소설가

[부희령의 다초점 렌즈] 어설픈 개인주의자의 고백/소설가

입력 2021-07-11 17:16
업데이트 2021-07-12 02: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부희령 소설가
부희령 소설가
KBS에서 수행한 세대인식 집중 조사의 결과가 소셜미디어 공간에서 화제였다. 가장 주목을 받은 조사 결과는 ‘기회가 되면 내 것을 나눠 타인을 도울 것이다’라는 문항에 대한 20~34세 남성의 응답이었다. 유독 청년 남성 세대에서 (주관적 계층 의식이) 고소득층으로 갈수록 ‘나눌 것이다’라는 답변이 급격히 하락했다. 그보다 나는 환경 문제와 관련해 ‘환경보다 개발이 중요하다’고 응답한 20~34세 남성이 43.8%나 된다는 사실이 더 놀라웠지만. 다른 세대의 남녀보다 현저하게 높은 비율이었다.

여러 전문가가 세대인식 조사의 결과를 분석·비판·해설한 글들을 흥미롭게 읽었다. 그러면서 20~34세이던 청년 시절에 나는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 새삼 돌이켜보게 됐다. 내 느낌으로는 그때의 나와 지금의 나는 몸도 정신도 전혀 다른 사람이다.

청년 시절의 나에게 ‘기회가 되면 내 것을 나눠 타인을 돕겠느냐’고 묻는다면 뭐라고 대답했을까? 잘 모르겠다. 그 무렵 나는 타인이나 공동체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다는 사실만은 분명하다. 극단적 개인주의자였고, 모든 관심은 나 자신에게 쏠려 있었다. 성취는 오직 내 힘으로 이룬 것이고, 실패도 오직 내가 못난 탓이라 여겼다. 인간의 삶이란 비바람 몰아치는 들판을 홀로 걷는 것이고, 선택할 수 있는 생존 방식은 오직 각자도생이라고 믿었다. 자신을 비장한 운명의 주인공 자리에 세워 놓으면 세상이 온통 어두워 보이기 마련이다. 살아오면서 가장 가난하던 시절이었고, 70~80년대의 억압과 훈육으로 얼룩진 학창 시절을 거치면서 그 반동으로 타인을 지옥으로 인식했다고 변명해 본다. 한편 객관적으로 생각해 보면 경제 상황은 최악이었으나 다른 조건들은 나쁘지 않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 나는 부모의 경제적 도움을 받지 않고 살 수 있었다. 알고 보면 개인주의라는 것은 그래도 살 만한 사람들이 장착하는 ‘주의’이다.

관념의 세계에만 존재할 뿐 현실에서는 무의미한 말들이 있다. 이를테면 사람을 ‘써서’ 어떤 일을 한다든가, 일자리를 ‘준다’든가 하는 것들이다. 현실에서는 사람을 사용할 수 없으며, 일자리는 누군가가 주는 게 아니라 일이 돼 가며 생기는 것이다. 각자도생이라는 말도 마찬가지다. 각자나 개인으로 존재해서는 오히려 생존할 수 없다. 신체적으로 분리돼 있다는 외적 조건 때문에 편의상 개인이라고 지칭할 뿐이다. 먹고 입고 이동하고 머무는 것 모두 인간과 인간, 인간과 사물의 연결망이 작동해야 가능하다. 에베레스트산 정상에서 홀로 가부좌를 틀고 있다고 해도 인간의 언어와 사유를 지속하는 한 완전히 고립된 개인은 불가능하다.

주관적 계층 의식이 저소득층인 50대 여성으로서 ‘기회가 되면 내 것을 나눠 타인을 도울 것이냐’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그렇다’고 대답할 것이다. 사람은 변하기 마련이다. 평생 공동체의 한 구석에서 옹색하게 살아온 어설픈 개인주의자의 고백이다. 지난 세월 좌충우돌하며 깨달은 것은 공동체의 좋은 구성원이 되려면 실수하고 배우고 또 실패하고 학습하는 일을 거듭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물론 바람직한 시민이 되고자 노력하고 싶지 않아도, 타인을 돕기 위해 내 것을 내줄 생각이 전혀 없어도 나누면서 살아갈 도리밖에 없다. 개인주의자로 살 수는 있어도 누구의 영향도 받지 않는 고립된 개인으로 살 수는 없다. 주위를 둘러 보라. 스스로 개인주의자라고 공언하는 이들도 웅성웅성 모여서 무리를 이루려 애쓰고 있음이 눈에 들어올 것이다.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나누는 태도뿐일지도 모른다. 누군가는 마냥 움켜쥐려고 애쓸 것이고, 누군가는 기꺼이 나눌 것이다. 윤리는 의무나 당위가 아니라 인간이 존재하는 방식을 아름답게 하려는 노력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다. 아름답게 살아 보자.
2021-07-12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