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칼럼] SNS 단상/황두진 건축가

[금요칼럼] SNS 단상/황두진 건축가

입력 2020-06-18 20:32
업데이트 2020-06-19 01: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 건축가
SNS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의 약어다. 한국어로는 누리소통망, 사회관계망서비스 등으로 번역하지만 통상 영어 발음 그대로 ‘에스엔에스’라 부른다. 한 단어로 퉁치기에는 종류도 많다.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개방형, 지인 위주의 폐쇄형이 있고 서비스마다 제공하는 여러 통신 수단까지 더하면 선택의 여지는 엄청나다.

개인별 경험은 다르겠지만 에스엔에스가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주기 시작한 지 이미 수십 년이 됐다. 기존의 대면 대화나 전화, 편지, 혹은 학계 등 일부 분야에서만 쓰던 전자메일 정도밖에 없던 상황에서 이것은 실로 신나는 경험이었다. 축구 감독 퍼거슨 같은 사람은 ‘에스엔에스는 시간 낭비’라고 비난했지만,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것을 증명이라도 하듯 수많은 사람이 이 대열에 즐겁게 자발적으로 뛰어들었다. 오직 시간 낭비라면 사용자가 줄어들어야 한다. 하지만 효용은 분명히 있다. 가령 세상 돌아가는 것을 이해하는 데는 최적의 수단이다.

편리한 만큼 문제도 늘어났다. 서로 소통하려면 같은 플랫폼을 공유해야 하는데 그러다 보면 결국 플랫폼 여러 개에 가입해야 한다. 각각의 아이디며 패스워드 관리는 이제 그 자체로 현대인의 일상 프로젝트가 됐다. 남들이 다 쓰는 플랫폼에 가입을 안 하고 있으면 사회생활의 의지가 부족하다는(!) 비난을 피할 길이 없다. 실제로 여러 사람이 소통해야 하는데 그중 하나가 대중적인 플랫폼을 안 쓰면 나머지 사람들은 정말 불편해진다. 퇴근 이후나 주말에 날아오는 업무 관련 메시지는 이제 사회문제로 등장했다. 기술이 발달하면서 타인의 태도와 매너에 더욱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은 역설이다. 발송 예약 서비스라도 있으면 좋으련만 그렇게 친절한 에스엔에스는 드물다. 알면서 못하는 것인지 다른 이유로 안 하는 것인지.

결국 장점이 단점이다. 대면 대화는 당사자가 같은 시간, 같은 공간에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이것을 시간ㆍ공간 대칭성이라고 한다). 이에 비해 전화는 시간은 같지만 공간은 서로 달라도 된다. 그래서 처음 등장했을 때 그야말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에스엔에스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서로 다른 시간, 다른 공간에서도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여러 사람이 참여해서 소통할 수 있는 것은 덤이다. 이것은 역으로 만인이 만인의 삶에 언제 어디에서나 개입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피로감은 이제 너와 나의 구별이 없다. 최후의 성역이었던 비행기마저 정복됐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예약 서비스는 온 국민의 행복을 위해 법제화할 단계가 됐다고 생각한다. 지금은 상대가 내일 아침에 받아 보면 될 내용도 혹시 내가 잊을까 봐, 혹은 아침에 타이밍을 놓칠까 봐 미리 보내는 경우가 생긴다. 내용을 미리 작성해 놓고 정해진 시간에 보낼 수 있으면 이 문제는 대폭 해결될 것이다. 시간ㆍ공간 비대칭으로 갈 거면 좀더 확실하게 그 장점을 극대화하는 것이 맞다.

각 개인이 할 수 있는 일도 있다. 나의 경우 전화를 제외한 모든 알람은 꺼 놓는다. 물론 수시로 확인한다는 전제가 있다. 폐쇄형 에스엔에스의 경우 가볍게 수다나 떨고 약속이나 잡을 때 쓰지, 가급적 ‘논의’ 수준의 대화는 하지 않는다. 심지어 논쟁은 금물이다. 그건 만나서, 혹은 최소한 전화로 한다. 어쩔 수 없는 경우에도 문자의 한계를 서로 겸허히 인정할 필요가 있다.

개방형 에스엔에스는 상대가 불특정 다수인 것을 알기 때문에 조금 더 조심스럽다. 그냥 개인 방송국이라고 생각하면 되는 것 같다. 주제나 소재는 자유로울 수 있겠지만, 방송이라 지켜야 할 선이 분명히 있다고 보는 것이다. 결국 고전적인 대면 대화만큼 좋은 것은 없다. 코로나야, 물러가라.
2020-06-19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