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시각] ‘카바’를 보는 또 다른 눈/심재억 사회부 부장급

[데스크 시각] ‘카바’를 보는 또 다른 눈/심재억 사회부 부장급

입력 2010-10-06 00:00
업데이트 2010-10-06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심재억 전문기자
심재억 전문기자
뒤죽박죽인 메일 수신함에서 눈길을 끄는 제목 하나를 봅니다. ‘저희들은 심장판막 질환자들입니다.’라고 쓰인 소박한 글이었습니다. 직업적으로 매일 수많은 메일을 받는 기자로서는 집단의 견해, 더러는 이기적이기까지 한 주장을 전파하려는 이런 유의 메일이 반가운 것만은 아닙니다. 그런데도 이 메일이 눈길을 끈 것은 ‘국민건강’이라는 표제어 때문이었습니다.

메일 발신자는 다음카페 ‘송카사모(송명근 박사의 카바를 사랑하는 사람들 모임)’ 회원들이었습니다. 자신들을 ‘심장판막이 고장난 사람들’이라고 소개한 그들은 “카바수술이 위험하니 중지시켜야 한다는 보건의료연구원(보건연)의 발표를 보며 참으로 안타깝고 답답해 글을 쓴다.”고 말문을 엽니다. 사실, 그것이 카바든 다른 무엇이든 위험하다면 중지시키는 게 옳습니다. 의료의 가치는 인간이 가진 신체적·정신적 위해요인의 제거나 축소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건국대병원 송명근 박사의 카바수술에 대한 보건연의 안전성 검증 결과가 ‘국민들의 건강권과 배치된다.’고 지적합니다. 보건연의 ‘카바수술은 생존율도 좋지 않고, 유해사례가 많다.’는 판정이 자신들이 체험한 결과와는 너무도 다르다는 겁니다.

심장판막 수술에는 기계판막치환술과 조직판막치환술이 있습니다. 다른 동물의 조직을 이용하는 조직판막치환술은 10년마다 재수술이 필요해 선호도가 떨어집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환자들은 인공판막을 넣는 기계판막치환술로 치료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치료는 인공판막 부위에서 생성되는 혈전이 문제가 됩니다. 아시다시피 혈전은 심장이나 뇌 등에서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키니까요. 이 때문에 기계판막을 넣은 사람은 평생 항혈전제를 복용해야 합니다. 그들은 이 항혈전제의 문제를 지적합니다. “이 약을 복용하면 지혈이 안 돼 사고로 출혈이라도 오면 위험한 상황에 빠지기 쉽다. 그래서 여성은 임신도 못 한다.”면서 자신들이 겪는 고통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그들의 호소는 간절하고 절박합니다. “카바수술을 직접 체험한 산 증인들”인 이들은 “의료계의 고질적인 이권과 파벌의 암투로 말미암아 살기 위해 카바수술을 받았거나 받아야 하는 저희들 다수가 결코 희생양이 될 수는 없다.”면서 수많은 판막질환자들의 생존권과 생명권이 의료 이외의 다른 요인에 의해 재단되는 현실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외치고 있습니다.

사는 동안 의학과 의료에 기대지 않는 사람이 있을 수 없고, 그래서 어느 새 의학이 시대를 지배하는 또다른 권력으로 등장했음을 부인할 수는 없습니다. 오늘날, 의학이 이룬 이 놀라운 성과는 전적으로 의학자들의 인간을 향한 뜨겁고 헌신적인 노력이 있어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지금, 모든 인간, 심지어는 절대권력자마저도 의학과 의료 앞에서는 한 사람의 순치된 환자일 뿐입니다. 무엇으로도 환치하거나 대체할 수 없는 의학의 절대성 때문입니다.

그러나 의학의 권력화는 모든 권력이 그렇듯 ‘배타의 울타리’를 치게 됩니다. 이 울타리는 의료가 일상화할수록 더 높고 견고하게 확장되는 속성을 갖습니다. 우리는 지금 의심의 여지없이 의학권력이 구축했다고 믿을 수밖에 없는 하나의 거대한 울타리와 마주하고 있습니다. 바로 카바를 두고 벌어지고 있는 안전성 시비입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해법이 있을 수 있지만 간과해서는 안 되는 경로가 있습니다. 바로 환자들의 입장과 선택입니다. 카바에 대한 안전성 검증의 목적이 ‘국민건강’에 있다면, 이 수술로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증언은 모든 의료인들이 과학성의 근거로 삼는 임상의 결과여서 더욱 중요합니다. 누가, 어떤 판단을 하든 의료적 손익의 병상에 눕는 것은 바로 환자들이라는 사실은 카바 문제를 푸는 우회할 수 없는 해법임에 틀림없고, 몇몇이 울타리 안에서 이 문제를 주물러서는 안 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jeshim@seoul.co.kr
2010-10-06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