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 잘못 쓴 표현의 나비효과/정현용 플랫폼전략부장

[데스크 시각]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 잘못 쓴 표현의 나비효과/정현용 플랫폼전략부장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23-06-12 01:12
업데이트 2023-06-12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울증은 반드시 치료해야 하는 병
‘감기’는 저절로 낫는 병… 치료 방해
‘자살’ 표현 금지 정책도 변화 필요

이미지 확대
정현용 플랫폼전략부장
정현용 플랫폼전략부장
‘우울증은 마음의 감기’라는 표현이 있다. 감기처럼 흔하고, 치료하면 회복할 수 있는 병이라는 의미를 담았다. 그런데 이 표현은 예상치 못한 ‘나비효과’를 불렀다. 감기처럼 ‘굳이 치료하지 않아도 저절로 낫는 병’이라는 인식이 생긴 것이다.

우리 주변에 약 복용을 좋아하는 이는 없다. 상당수 환자는 항우울제가 갖가지 부작용을 일으킨다고 오해하고 있다. 굳이 치료하지 않아도 되는 병이라면 한두 번 진행하는 상담이나 마음다짐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인식이 부작용 우려와 결합해 치료를 미루는 거대한 나비효과를 만들었다.

하지만 상당 기간 진행된 중증 우울증은 ‘버티기’로 극복할 수 없다.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하고, 세밀한 정신분석을 기반으로 적절한 치료제를 처방받아야 한다. ‘마음의 감기’라는 인식은 이런 필수적인 치료 과정을 방해할 뿐이다. 몇몇 전문가들이 이런 문제를 지적했으나, 이미 널리 퍼진 표현을 바로잡기엔 역부족이었다.

한국의 항우울제 복용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꼴찌 수준이다. 2020년 기준 우울증 유병률은 36.8%로 OECD 국가 중 1위다. 같은 해 국가별 통계를 보정해 집계한 한국인 자살률은 인구 10만명당 23.6명으로 OECD 평균(11.1명)의 2배를 넘는다. 그런데도 중증도 이상 우울증 치료율은 11.2%로 미국(66.3%)의 6분의1에 불과하다. 이런 간극을 줄이려면 자살과 관련한 표현부터 세심하게 들여다봐야 하는데, 책임지고 나서는 이가 없다.

언론이 주로 사용하는 ‘극단적 선택’이라는 표현도 문제다. 각종 보도에서 사용하는 ‘극단적 선택’은 자살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기 위한 고육지책에 가깝다. 자살이라는 표현 자체를 숨기는 게 자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1차원적인 예측은 ‘베르테르 효과’에서 기인했다.

자신이 존경하거나 사회적 영향력이 큰 사람이 자살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 연쇄적으로 자살이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해 자살이라는 표현 자체를 금기시한 것이다. 그러나 이런 판단이 무색하게도 2018년까지 감소했던 자살률은 이후 다시 반등했다. 오히려 자살이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이들의 마지막 선택지라는 인식이 덧씌워지면서 역효과를 불렀다는 지적도 나온다.

검증되지 않은 정책은 국민들의 반발을 사기도 한다. 2012년부터 서울의 각종 다리에 게시된 ‘자살예방 문구’도 역효과만 불렀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응원 문구를 보고 마음을 돌린 이는 많지 않았다는 게 다수 전문가들의 견해다.

일부 전문가들은 단순히 자살을 숨기기보다 양지로 끌어올려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부정적 현실을 회피하기보다 정면으로 응시하면서 현실적인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대통령 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지난 4월 ‘자살 위기극복 특별위원회’ 세미나에서 “자살은 ‘선택’의 대상이 될 수 없다”며 “‘극단적 선택’이라는 용어 사용을 자제해야 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시급히 추진해야 할 대책 중 가장 우선적으로 필요한 것은 항우울제 처방률을 높이는 것이다. 우울증 환자들을 양지로 이끌어 진료받도록 유도하고, 우울증 상담이 숨길 일이 아니라는 점을 부각시켜야 한다. 치료받으면 충분히 나을 수 있지만, 방치하면 증상이 급속히 악화돼 위기 상황에 빠질 수 있다는 점도 계속 강조해야 한다.

다행히 의료적 기반은 계속 확충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3년 781곳이었던 정신건강의학과 의원은 올 1분기 1540곳으로 2배가 됐다. 정신건강의학과를 기피 기관으로 보는 인식도 많이 사라졌다. 이제 더 많은 환자들이 의료기관을 찾고 항우울제 처방이 원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제도적 기반을 갖추는 일이 남았다. 그것이 정부와 전문가들이 해야 할 일이다.
정현용 플랫폼전략부장
2023-06-12 2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