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끝없는 일

[신가영의 장호원 이야기] 끝없는 일

입력 2020-06-23 20:42
업데이트 2020-06-24 0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신가영 화가
신가영 화가
한여름으로 들어서 비가 오지 않는 날이 길어지고 있다. 매일매일 물 주는 것이 일이다. 풀도 뽑아야 하고 가지치기한 나무들은 여전 한쪽에 쌓여 있다. 매일매일이 일이다. 전원생활이란 낭만을 기대하지 않았어도 도시 살 때와 달리 일이 많다고 느껴지기 일쑤이다. 과연 그런가?

일의 종류가 달라지며 요령이 없으니 모든 걸 힘으로 해결해야 했다. 간단한 호미질도 익숙하지 않아 힘이 들고 쭈그려 앉아 바늘 찾듯 풀을 뽑다 보면 시간조차 주저앉은 듯 답답함이 밀려오곤 했다. 넝쿨을 조금만 방치하면 들어서기 어려울 정도로 무성해지고 그 무성한 사이에 벌레들은 신나게 자리하고 가끔 새 둥지도 발견하고 그랬다. 모든 게 어설프니 힘이 든다고 투덜대는 시간이 많았다. 모르기에 막막했던 날들이었다. 일이 힘든 것은 힘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모르는 것이라 우선 풀에 대해서 찾아보기 시작했다. 잡초라 불려도 이름 없는 풀은 없는 법. 모를 때는 모든 것이 풀이고 제거해야 할 것이었는데 이제는 아는 것부터 제거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이미지 확대
화단에서 제일 귀찮은 괭이밥은 꽃 필 무렵 씨방이 터지기 전에 뽑으니 쉽게 잡혔다. 작은 것을 일일이 뽑아내려면 쉽지 않지만 포복하듯 줄기를 뻗친 것은 뿌리를 찾아 캐면 되고 그해 잘 자란 괭이밥은 쉽게 뽑혔다. 딱딱해진 땅에 유독 잘 자라는 질경이는 호미로 캐자면 힘이 들지만 삽으로 뿌리 근처를 찍으면 제거하기 쉽다. 환삼덩굴과 새삼덩굴도 어린 것보다 어느 정도 자랐을 때 잡으니 더 쉬웠다.

잡풀이 자리한 곳을 보면 제대로 키우는 것이 없을 때 왕성하다. 잡초를 한꺼번에 다 정리하기는 어렵고 지칠 뿐이다. 키우고 싶은 모종을 정하면, 심을 자리 잡초를 제거한 다음 그 모종이 그 구역을 채우는 방법을 쓰고 있다. 물론 그런다고 절대 사라지지 않을 잡초들이다. 무성해져서 감당하기 어려웠던 나무들도 조금씩 알아가고 있다. 가지치기가 왜 필요한지 시행착오는 여전히 진행 중이고 필요한 도구들도 알아가는 중이다. 차차 익숙해지는 만큼 시간은 줄어들 것이고 한계점을 금방 확인하게 될 듯하다. 제일 경계해야 할 것은 커져버리는 욕심이다. 담 너머 커가는 복숭아를 보면 부럽고 길가에 아름답게 자라는 꽃들을 보면 키워 보고 싶어진다. 이 좁은 마당에서 말이다.

2020-06-24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