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서의 각양각세(世)] 코로나 물러가면 실업률 낮아질까

[송현서의 각양각세(世)] 코로나 물러가면 실업률 낮아질까

송현서 기자
입력 2020-06-24 17:46
업데이트 2020-06-25 01: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현서 나우뉴스부 기자
송현서 나우뉴스부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인한 실업률이 사상 최악의 수준까지 치솟았다. 지난 5월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4월 일자리를 잃은 실직자는 207만 6346명으로, 통계청 집계 이래 최대 규모다. 원치 않게 일자리를 잃은 ‘비자발적 실직자’도 전년 동기보다 70.1% 늘어난 104만 4720명으로 집계됐다.

더 큰 문제는 실업률 문제가 코로나19 사태의 종식만으로 해결될 분위기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코로나19 사태로 원치 않게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의 자리를 차지한 것은 다름 아닌 자동화ㆍ무인화 기기다.

코로나19 사태 전에도 인건비를 절감하고 이윤을 늘리려는 기업들은 물류창고나 식료품점 등에 자동화 기술을 도입해 인간 노동자를 대체해 왔다. 코로나19 사태가 진정국면에 들어서더라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기업들은 이전보다 더욱 자동화ㆍ무인화에 박차를 가할 가능성이 크다.

뉴욕타임스는 지난 4월 “지금까지는 자동화로 인한 일자리 감소에 대한 우려, 기계가 인간의 삶을 통제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막연한 두려움이 있었지만 오히려 기계로 인해 인간의 접촉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일터를 재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자동화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허물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실제로 로봇청소기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업체인 미국의 브레인코퍼레이션은 지난 2월과 4월을 비교했을 때 로봇청소기를 사용하는 소매업체가 13% 증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바닥을 청소하는 로봇은 필수 인력을 대신해 수천 시간의 노동을 감당하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접촉을 꺼리는 사람이 늘자 부랴부랴 비대면 결제 시스템을 도입한 기업도 다수다. 페이팔과 같은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상점도 늘어났다. 지난 4월 유럽 금융감독 당국이 모바일 결제 가능 한도를 상향 조정하고 인증 요건을 완화한 이유도 이러한 시장 변화에 있다.

전문가들은 수입이 줄어들수록 인건비에 지출할 수 있는 여력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기업에 인간 노동자를 기계로 대체하는 무인화ㆍ자동화에 대한 필요성은 높아질 것이라고 예측한다. 이는 코로나19 사태가 진정세에 들어선 후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재개하더라도 채용 규모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으로 이어진다.

한국은행이 지난 18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30~50대는 코로나19 이전부터 고용난에 시달려 왔으며 최근 몇 년간 일자리 상황이 악화된 것에는 기업들이 공장 자동화와 무인화를 추진한 영향이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더불어 코로나19의 확산으로 30~50대 고용난은 더 악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비대면 결제나 자동화ㆍ무인화를 낯설어하던 사람들마저도 반강제로 이것에 익숙해지도록 하는 계기가 됐다. 기업들은 자동화ㆍ무인화에 거부반응을 보이던 소비자가 줄어든 틈새를 노리고 있다. 코로나19 사태가 종식돼도 실업률이 낮아지고 고용이 확대되는 장밋빛 미래를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뜻이다. 국가와 사회가 일자리와 관련한 보다 튼튼한 대책을 강구해야 하는 이유다.
2020-06-25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