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로버트 朴 북 억류 43일, 성고문 진실 뭔가

[사설] 로버트 朴 북 억류 43일, 성고문 진실 뭔가

입력 2010-03-08 00:00
업데이트 2010-03-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12월 북한의 인권 개선을 촉구하겠다며 입북했다가 43일 만에 풀려난 한국계 미국인 선교사 로버트 박씨가 북한 내에서 극심한 고문을 당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로 인한 트라우마(정신적 외상)로 그는 여태껏 미국의 한 병원에서 치료를 받다가 엊그제 퇴원했다고 한다. 북한당국이 저지른 가혹행위의 진상은 아직 불분명하지만, 그의 지인들은 성고문설 등 충격적 제보까지 내놓았다. 정부를 포함한 국제사회가 한목소리로 진상규명을 북측에 요구하고 북한 내 인권 유린 상황에 관심을 기울일 때다.

그동안 박씨의 북한 내 행적에 대해선 그가 침묵을 지키는 통에 구구한 억측만 있었다. 하지만 퍼즐 맞추기처럼 어려웠던 진상의 전모가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그의 정신적 후견인인 존 벤슨 목사는 미국의 소리(VOA)방송 회견에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로 불안증세를 보이는 등 가혹행위를 당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고 전했다. 박씨와 함께 북한인권운동을 벌여온 팍스코리아나 대표의 제보는 더욱 놀랍다. “평양 압송 이후 입에 담을 수 없을 정도로 추악한 성적 가혹행위가 가해졌다.”고 하니 사실이 아니길 빌고 싶을 정도다. 21세기 개명 사회에서 도대체 있을 법한 얘기인가. 북측은 먼저 진상을 밝혀야 한다. 성고문설이 사실이라면 사과와 재발방지를 약속해야 한다. 하지만 문제는 그럴 개연성이 희박하다는 점이다. 박씨가 석방될 즈음 조선중앙통신은 박씨가 북한 내 인권에 아무 문제가 없다는 점을 확인하고 인권 개선운동을 벌여온 데 대해 사과했다는 식의 보도를 내보냈다. 북한 내 수많은 정치범수용소에 대해 존재 자체를 시인하지 않던 종전 자세에서 한치도 달라지지 않은 태도다. 북한의 인권은 국제적 공동대응을 통해서만 개선될 수 있다는 ‘불편한 진실’을 새삼 일깨운다.

이 과정에서 우리의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 제3자인 미국과 일본조차 이미 북한인권법을 만들었다. 그런데도 동족인 우리는 정파 간 이견으로 북한인권법 하나 처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북한주민의 인권에 대해 입을 다물어 북한당국을 자극하지 않는 게 상책인 양 여기는 풍조는 고쳐져야 한다.
2010-03-08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