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인터넷 중독 숫자놀음으론 근절 못한다

[사설] 인터넷 중독 숫자놀음으론 근절 못한다

입력 2010-03-17 00:00
업데이트 2010-03-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행정안전부와 교육과학기술부 등 7개 부처 공동으로 인터넷 중독 예방 및 해소 종합계획을 마련해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2012년까지 현재 8.8%인 인터넷 중독률을 5% 이하로 낮추고 연간 47만명을 대상으로 하던 인터넷 중독 예방교육을 앞으로 3년간 1000만명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맞춤형 상담기록 대상자는 연간 20만명으로 늘리고 예방교육 강사와 파견 상담사 등 4000명의 전문인력과 고학력 청년 6000명을 멘토링 요원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한다. 때늦은 감이 있지만 정부가 인터넷 중독과의 전쟁을 선포하고 나선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하지만 이처럼 숫자만 나열하는 거창한 대책으로 인터넷 중독을 근절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인터넷게임 중독은 과도한 게임 몰입으로 내성과 금단현상이 생겨 일상생활에 장애를 받는 수준을 말하는데 그 정도가 나날이 심각해 지면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인터넷 게임에 빠진 부부가 갓 태어난 자식을 굶겨 죽이는가 하면 20대 게임중독자가 인터넷 게임을 그만하라고 꾸중하는 어머니를 흉기로 살해하는 등 게임중독으로 인한 패륜 등의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 따르면 9~19세 아동·청소년 가운데 반드시 치료가 필요한 고위험군 인터넷 중독자는 이 연령대 인구의 2.3%인 16만 8000명, 전문가 상담이 필요한 잠재위험군 중독자는 12%인 86만 7000명이나 된다. 성인 중독자도 상당수에 이른다. 개인에게도 불행이고 국가의 성장 잠재력에도 심각한 위해가 아닐 수 없다.

일부 청소년과 어른들에게 인터넷 게임은 단순한 오락이나 여가활동이 아니라 중독성이 강한 나쁜 습관이자 현실도피의 수단이 됐다. 상담사 숫자만 늘리는 게 능사가 아니다. 인터넷 중독의 심각성을 스스로 깨닫게 할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전문적인 예방교육과 상담치료는 필수다. 겉핥기식 정책보다는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세부계획이 강구돼야 한다. 국가의 미래가 걸린 중차대한 문제인 만큼 정부에만 맡겨서는 안 된다. 우리 사회 전체가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사회적 질병을 퇴치해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인터넷 강국이 될 수 있다.
2010-03-17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