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교조 명단 공개 뭐가 두렵나

[사설] 전교조 명단 공개 뭐가 두렵나

입력 2010-04-21 00:00
업데이트 2010-04-21 01: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그제 조전혁 한나라당 의원이 전교조를 비롯한 4개 교원노조와 교총 등 5개 단체 회원들의 명단과 학교를 전격 공개한 것을 두고 파문이 크게 번지고 있다. 소속원 명단이 실명 공개된 전교조와 교총 등 단체들은 법 절차를 무시한 위법행위로 악용의 소지가 많다며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아무래도 이번 명단 공개에 가장 관심이 쏠리는 부분은 전교조일 것이다. 일부 편향된 이념 교육과 정치적 중립을 벗어난 활동 탓에 사회의 곱지 않은 시선을 받아오던 터에 반발이 쏟아짐은 이해가 간다. 그러나 전교조나 교총 모두 합법적 단체이다. 명단 공개에 원초적 불만의 입장만 쏟아내는 게 능사는 아닐 것이다. 오히려 참교육을 실천하고 구현한다는 본래의 목적을 진지하게 이뤄 낼 여지는 없는지 적극 찾아볼 일이다.

학부모들이 자녀 교육을 맡긴 교사의 성향에 대해 궁금해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명단이 게재된 홈페이지에 접속이 폭주해 서버가 차단된 상황이 무얼 말하는지 극명해 보인다. 물론 제한된 정보를 공개하는 이유와 과정엔 충분한 사회적 합의와 공감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다. 지난 15일 서울남부지법이 “실명 자료를 인터넷이나 언론에 공개해선 안 된다.”고 결정한 것은 그같은 견해를 감안한 것이다. 합법적 단체인 만큼 전교조가 자체적으로 명단을 떳떳하게 공개할 것을 우리는 거듭 요구해왔다. 법원의 엇갈린 판결을 무시하고까지 전격 공개한 조 의원은 정보 공개에 쏟아지는 의혹과 염려를 불식시키는 데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학부모들의 관심과 알 권리가 혹여 교사들의 이념이며 성향이라는 단편적 잣대로 연결돼선 곤란하다. 사실 우리 사회엔 ‘전교조 교사=정치 이념교사’라는 편견과 인식이 적지 않은 게 현실이다. 명단 공개가 전교조의 활동을 결정적으로 위축시킬 것이란 우려도 나름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전교조 가입과 활동은 순전히 개인의 희망에 따른 것이다. 전교조 회원임을 떳떳하게 밝히고 더욱 당당하게 참교육에 매진할 이유가 충분히 있다고 우리는 본다. 비단 이번의 명단 공개를 떠나 전교조의 참 가치를 진지하게 따져 행동해야 할 것이다.
2010-04-21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