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보구멍 민·관·군 협력체제로 메워라

[사설] 안보구멍 민·관·군 협력체제로 메워라

입력 2010-05-05 00:00
업데이트 2010-05-05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제 이명박 대통령이 건군 이래 처음으로 전군 주요 지휘관회의를 주재했다. 천안함 참사의 배후가 북한이란 정황이 짙어져 가는 가운데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혈맹’격인 중국을 방문 중인 긴박한 상황에서였다. 이 대통령은 국가안보총괄점검기구를 구성해 위기관리시스템의 재정비를 약속하면서 군의 전방위 개혁을 주문했다. 그러나 우리는 천안함 침몰이 상징하는 국가안보상의 허점은 민·관·군이 혼연일체가 되어야만 온전히 메울 수 있다고 믿는다.

천안함 사태가 안보 태세 전반을 총체적으로 재점검하는 계기가 되어야 함은 불문가지일 것이다. 작전 중인 초계함이 경계에 실패해 피침된 뒤 즉각적 대응은커녕 공격 배후조차 제때 집어내지 못한 일이 어디 보통 상황인가. 그래서 군의 긴급대응태세와 보고지휘체계, 정보 능력 등이 군 개혁의 과제로 집약된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사후약방문이지만 청와대 안보특보 신설이나 국방개혁안의 수정 등도 응당 지켜져야 할 약속이다. 잠수함과 특수부대 등 북의 비대칭전력을 통한 게릴라식 기습에 대비하는 역량을 기르는 것도 과제다.

군사적 차원의 안보 인프라 구축 못지않게 중요한 게 느슨해진 안보의식을 다잡는 일이다. 이 대통령은 군의 매너리즘을 지적하며 “국민들도 불과 50㎞ 거리에 장사정포가 우리를 겨누고 있음을 잊고 있다.”고 첨언했다. 민·관·군의 협력이 군기강 확립만큼 중시돼야 할 근거다. 민간 어선이 천안함 함미를 먼저 찾아냈듯이 말이다. 안보에 도움이 되는 민간의 역량이 크게 신장하고 있으니, 이를 끌어내야 한다. 그 연장선상에서 안보 이슈마저 정쟁의 대상으로 전락시키는 일이 더는 없어야 한다. 군함이 침몰하고 함께 사는 공동체에 물이 새고 있는데 내부 폭발설 등 근거 없는 유언비어성 주장으로 분열을 자초한 일은 자성해야 한다. 일사불란하게 외적에 대응해도 시원치 않을 터에 총구를 안으로 돌려서야 될 말인가.

군이 천안함 참사 초기 대응 과정에서 갈팡질팡한 사실은 통렬히 지적되어야 하고 책임도 물어야 한다. 하지만 더욱 타기해야 할 일은 ‘천안함 국난’을 두고 지방선거에서 어느 당이 유리할 것인지 주판알을 튕기는 행태다. 나라가 무너진 뒤 여야, 진보·보수가 어디 따로 존재할 수 있겠는가.
2010-05-05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