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속도 내는 4대강 공사 장마피해 대비해야

[사설] 속도 내는 4대강 공사 장마피해 대비해야

입력 2010-06-21 00:00
업데이트 2010-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4대강 사업에 가속도를 붙이고 나서 흔들림 없는 추진 의지를 거듭 확인했다. 어제는 임시 물막이, 즉 가물막이 16곳 중 13곳을 이달 말까지 철거하겠다고 밝혔다. 최근 16개 보의 수문 설치 공사에 들어간 데 이어 준설토를 활용한 농경지 리모델링공사도 곧 착수한다고 한다. 이를 놓고 찬반 논란이 또 다시 가열되고 있지만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서라면 백번 옳은 일이다. 따라서 정부의 속도전도 장마철 홍수 방지에 초점이 맞춰져야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4대강 사업이 착수된 이후 지난 18일 현재 1억 600만㎥ 규모의 준설토를 강바닥에서 긁어냈다. 상당부분은 4대강 둔치 곳곳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 준설토가 집중 호우에 쓸려 강으로 다시 흘러 들어가거나 유실된다면 그동안의 준설작업은 허사가 된다. 이 때는 예산과 인력의 엄청난 낭비는 물론이고 4대강 사업 자체가 찬반 논란의 소용돌이에 빠져들 것이 명약관화하다. 장마 피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사업을 성공으로 이끌 수 있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가물막이 철거작업이 정부의 설명대로 장마철 물 흐름을 막지 않도록 하는 조치라면 이를 서두른다고 이의를 제기할 일이 아니다. 준설토는 하루 속히 농경지나 적치장으로 실어날라야 한다. 불가피하게 쌓아둘 수밖에 없는 경우엔 임시 물길을 내서 토사 유실을 막아야 할 것이다. 홍수 감시 인력을 대폭 늘리는 것은 당연하며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비상복구반도 상시 대기시켜야 한다.

정부의 속도전을 놓고 돌이킬 수 없는 사업으로 못 박으려는 의도라고 반대세력들은 의심하고 있다. 수문 설치 공사나 농경지 리모델링 공사 등이 그런 의심의 빌미를 주고 있음을 정부가 외면해서도 곤란하다. 4대강 사업은 본질적으로 일부 지방자치단체장 당선자들의 요구대로 중단될 수 있는 국책사업이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정부가 무리하게 밀어붙인다면 그 역시 6·2 지방선거에서 표출된 민심을 거스르는 처사다. 사업의 추진 동력은 그만큼 떨어질 수밖에 없다. 반대하는 이들의 주장을 충분히 수용해서 수정하고 보완하면 추진 동력은 더 커진다. 장마피해 방지부터 적용해야 할 원칙이다.
2010-06-21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