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아부다비 개가’ 산유국 꿈 이룰 계기로 삼자

[사설] ‘아부다비 개가’ 산유국 꿈 이룰 계기로 삼자

입력 2011-03-15 00:00
업데이트 2011-03-15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민국이 미국·영국·프랑스·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다섯번째로 ‘석유 프리미어리그’에 진출하게 됐다. 그제 중동 아랍에미리트연합(UAE)과 10억 배럴 이상을 생산할 수 있는 대형 유전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와 5억 7000만 배럴로 추정되는 미개발 3개 광구에 대한 독점적 개발권을 보장하는 양해각서(MOU)와 계약에 서명한 것이다. 현 시가로 따져 무려 132조원에 이른다. 15개월 전 원자력발전소 수주에 이은 자원에너지 외교의 개가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계약 내용대로 우리가 원유 매장량을 확보하게 되면 현재 10.8%인 석유가스 자주개발률은 15%까지 치솟게 된다고 한다. 20%만 넘기면 웬만한 오일쇼크에도 거뜬히 견딜 수 있다는 게 정설이다.

우리나라는 소비량 기준으로 석유는 세계 9위, 유연탄 세계 7위, 우라늄 세계 6위, 철광과 동광·아연광·니켈광 세계 5위에 이를 정도로 역동적인 경제구조다. 하지만 석유 한 방울도 나지 않는 데다, 주요 광물 역시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안정적인 자원 공급원 확보는 우리 경제에 절체절명의 과제로 꼽혀왔다. 하지만 중국이 1조 달러를 웃도는 외환보유고를 무기로 전세계 자원 싹쓸이에 나서고 있고, 투기자본까지 가세해 가격 불안을 부추기고 있다. 주요 자원 보유국들은 자원을 무기로 세계 질서의 재편마저 노리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UAE 유전 개발 참여는 자원 자주권 확보를 위한 새로운 전기가 될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계약 서명 직후 강조한 것처럼 ‘아부다비 개가’는 양국 간의 신뢰가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 초석이 됐다. 우리의 자원외교가 지향해야 할 방향이다. 정부는 계약이 순조롭게 이행될 수 있도록 사후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추가 유전개발권 확보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이제 ‘산유국 꿈’은 더 이상 먼 나라의 얘기가 아니다.
2011-03-1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