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어능력시험 수능대체 방향은 옳지만…

[사설] 영어능력시험 수능대체 방향은 옳지만…

입력 2011-05-28 00:00
업데이트 2011-05-28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교육과학기술부가 어제 공개한 고등학생 국가영어능력평가시험 시행방안은 읽기와 듣기 위주인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에 비해 말하기와 쓰기를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시행안에 따르면 시험은 듣기·읽기·말하기·쓰기 4개 영역에 대한 4등급 절대평가 방식으로 치르게 돼 있다. 그동안 말하기·쓰기 영역은 5지선다형 지필문제에 의한 ‘간접’평가 방식이었다. 전방위 실용영어를 강조하면서도 실제 평가에 있어서는 절름발이 양상을 면치 못해온 것이다. 교과부가 이번에 ‘한국형 토플’을 표방하며 내놓은 영어능력평가시험안은 실용영어 교육의 내실을 다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적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모든 정책이 그렇듯 이 시험 방안 또한 만만찮은 그늘을 안고 있다. 무엇보다 우려되는 것은 사교육 문제다. 학교 교육이 단기간에 실용영어 중심으로 바뀌기는 어려운 만큼 새로운 시험 유형에 대비하기 위해 학생들은 결국 사교육 시장에 의존할 것으로 보인다. 시험 수준이 현행 수능보다 크게 낮아 변별력 논란 또한 불가피할 전망이다. 그러나 상대평가 방식인 수능 영어시험 하에서 1∼2점 차로 당락이 갈리는 반교육적 폐해를 감안하면 절대평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수능과 달리 두 번 응시해 좋은 성적을 택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수험생에게 이중의 부담이지만 정당한 평가를 담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일이다.

영어능력평가시험은 내년부터 일부 대학 수시모집에 시범적으로 활용된다. 교과부는 내년 말 이 시험의 공신력 등에 대한 의견을 수렴해 수능 대체 여부를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대체가 결정되면 현재 중학교 2학년 학생이 대학에 들어가는 2016학년도부터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2014년도에 난이도가 다른 A, B형 도입에 이어 수능 외국어 영역은 또 한번 바뀌는 셈이다. 교육현장의 혼란을 막는 데 가일층 지혜를 모아야 한다.
2011-05-28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