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평가 싫다고 파업하는 SC제일銀 노조

[사설] 평가 싫다고 파업하는 SC제일銀 노조

입력 2011-06-28 00:00
업데이트 2011-06-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SC제일은행 노조가 어제 사측의 성과연봉제 도입 추진에 반대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전체 직원 6500여명 가운데 43%, 전산분야 200명을 제외한 노조 3000여명 중 2800여명이 강원도 속초의 한 콘도에 모여 파업에 참가하고 있다고 한다. 중간 간부인 차장부터 임원까지 시행하고 있는 기존 연봉제를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 전 직원으로 확대하겠다는 게 사측의 핵심 안건이다. 연봉제를 확대해도 기존의 연봉이 깎이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10%가량의 임금 상승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노조는 지금까지 부단위, 지점단위 등으로 집단성과급제를 시행하고 있고 성과가 떨어지는 직원들에 대해서도 매년 10%가량 후선으로 배치하고 급여도 20%가량 삭감하고 있는데 굳이 이를 전 직원으로 확대하려는 것은 구조조정을 염두에 둔 술책에 불과하다고 반박한다.

양측의 입장을 냉정히 따져보면 노조의 주장이 사측보다는 설득력이 다소 떨어진다. 사측에 따르면 지난해 남자 직원 기준으로 평균 연봉은 8500만원으로 국내 은행 최고 수준이다. 사측의 입장에서 보면 직원들에게 돈을 많이 주는 만큼 돈을 더 벌어들여야 한다. 일 잘하는 직원은 대우를 잘 해주고 못하는 직원은 자극을 주는 게 시장경제 생리인 점을 감안하면, 노조가 연봉제 자체를 거부해 파업에 나선 것은 궁색한 측면이 있다. 사측은 노조를 끌어안는 성의가 부족하다고 보여진다.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게 궁극적으로는 구조조정 등을 의미하는데, 절대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하면 어떤 노조인들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겠는가. 꼼수나 다름없다.

은행은 공공기관의 성격이 강하고, 고객 서비스를 하는 곳이다. 고객을 안중에 두지 않는 듯한 은행치고 잘되는 곳은 없다. 파업 돌입으로 창구에 일손이 달려 고객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는 불평이 벌써 들린다. 따라서 노조의 파업이 장기화돼서는 안 된다. 오래 끈다면 고객을 무시하는 처사다. 노사는 하루빨리 진지한 자세로 다시 협상에 임해야 한다. 또다시 머리를 맞대다 보면 신뢰가 쌓이고 문제가 풀리게 된다. 노사가 고객을 외면하면 고객은 떠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2011-06-28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