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나라 변화 출발점은 흔쾌한 자기희생

[사설] 한나라 변화 출발점은 흔쾌한 자기희생

입력 2011-12-12 00:00
업데이트 2011-12-12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홍준표 대표 사퇴 이후 비상체제인 한나라당이 절체절명의 기로에 섰다. 그제 당의 ‘대주주’ 중 한 사람인 이상득 의원의 보좌관이 SLS그룹과 제일저축은행으로부터 거액을 받은 혐의로 체포됐다. 지지율 하락과 선관위 디도스 테러 여파로 가뜩이나 어수선한 판에 엎친 데 덮친 격이다. 이 의원이 도의적 책임을 지고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것은 그마나 다행이다. 한나라호(號)가 국민의 신뢰를 회복해 난파를 면하려면 친이는 물론 박근혜 전 대표의 등판을 앞둔 친박 등 모두가 기득권을 내려놓고 곪은 살부터 베어 내는 결단을 보여 줘야 한다.

민심을 다독이고 민생을 보살펴야 할 집권당이 되레 국민의 걱정거리로 전락한 참담한 상황이다. 이런 위기가 박 전 대표의 구원 등판을 부르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누가 비상체제 여당의 키를 잡느냐에 앞서 선결 과제가 있다. 선원들이 갈등 없이 단합해 사심 없이 새 항로를 개척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 범여권 안팎에서 신당 창당에 준하는 재창당이냐, 전면 쇄신을 통한 리모델링이냐, 아니면 외곽 세력과의 보수대통합이냐를 놓고 백가쟁명이 한창이다. 비대위나 전당대회 등 박 전 대표의 당 전면 복귀 시기와 방식을 놓고도 의견이 분분하다. 하나같이 새로운 갈등을 부를 불씨들이다.

까닭에 여권의 실력자 모두가 사즉생의 각오와 자세를 보여 줘야만 한다. 쇄신하겠다면서 정작 난파선 위에서 쓸 만한 물건 하나라도 더 챙기려는 이악스러운 태도를 버리지 않는다면 어느 국민이 감동하겠는가. 총선을 앞두고 공천권 등 기득권을 놓치지 않기 위해 당내 세력들이 또다시 갈등을 빚는다면 국민은 여당에 남아 있는 마지막 한 줌의 정마저 떼고 말 것임을 잊어선 안 된다. 그런 맥락에서 현 정부의 최고 실세로 꼽혀 온 이상득 의원의 내년 총선 불출마 선언은 만시지탄이다. 본인으로선 억울한 점이 있을지 모르지만, 실력자 주변에 이권을 노리는 인사들이 진딧물처럼 꾀는 풍토를 감안해 진작에 2선 후퇴를 했어야 했다. 여권 전체를 살리려면 박 전 대표인들 다른 선택의 여지가 있겠는가. 참신한 인물들로 면모를 일신해도 모자랄 판에 공천 불나방 같은 인사들을 친박이라는 이유로 비대위 등에 잔뜩 배치해 업혀 갈 생각은 애당초 금물이다. 여권의 거듭나기는 흔쾌한 자기희생을 딛고 출발해야 한다.

2011-12-12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