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블랙아웃 위험 여전… 10% 절전 동참하자

[사설] 블랙아웃 위험 여전… 10% 절전 동참하자

입력 2011-12-16 00:00
업데이트 2011-12-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3일과 14일 울진 원전 1호기와 고리 원전 3호기가 각각 발전을 중단하면서 전력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그제 피크타임의 예비전력은 8%대(670만㎾)로 떨어졌다. 때마침 한파가 몰아치면서 ‘9·15 대정전’의 악몽이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제기되고 있다. 겨울철에는 섭씨 1도가 떨어지면 전력 사용은 60만㎾ 정도 늘어난다고 한다. 이번 원전 고장이 영하 10도의 한파가 몰아치는 날 발생했다면 예비전력이 바닥 날 수도 있었다는 얘기다. 합동단속반은 이에 따라 어제부터 전력낭비 감시활동에 돌입했다. 대형 공장과 10층 이상 건물 1만 4000여곳은 오전 10시~낮 12시, 오후 5~7시에 작년보다 10% 전력 사용을 줄여야 한다. 5~10층 건물 4만 7000곳은 실내 온도를 섭씨 20도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위반업소에 대해서는 2차 적발 때부터 최고 3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일부 대기업과 유통업체들은 강제 절전 조치에 볼멘소리를 내고 있다고 한다. 경비 절감 차원에서 이미 온갖 절전대책을 시행해온 마당에 추가로 절전하면 생산과 공장 가동에 차질이 생긴다는 항변이다. 나름대로 사정은 있을 것이다. 하지만 대정전 사태가 초래할 엄청난 재앙을 생각한다면 불편하더라도 절전운동에 동참해야 한다고 본다. 과거 추이를 보면 겨울철에는 날씨와 상관없이 매년 0.7%가량 전력 소비가 늘어난다. 또 겨울철 전력사용량의 25%가 전기 난방용품에서 발생한다. 국민 모두가 절전에 동참해야 하는 이유다. 온 국민이 내복을 입고 난방온도를 3도만 낮춘다면 연간 1조 3000억원에 이르는 난방에너지 비용을 줄이고 온실가스 배출도 감축할 수 있다.

전력당국은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차질이 없도록 비상한 각오로 임해야 한다. 중·장기적인 전력수급 계획도 차질없이 이행해야 한다. 하지만 전력 수급과 상관없이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2011-12-16 31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